본문 바로가기

백업과 복원, 복제/GSS - Ghost 11.5.1

[GSS - Ghost] 윈도우 외에서의 작업이 필요할 때 가장 간단하게 고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윈도우 외에서 작업이 필요할 때 고스트를 실행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1. 윈도우 외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이유

고스트로 진행하는 거의 모든 작업들은 윈도우에서 곧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윈도우에서 사용 중인 원본(Source)은 잠그거나(Locked), 볼륨 스냅샷(Volume Snapshot)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고, 현재 사용 중인 대상(Destination)은 잠그거나(Locked), 오프라인(Offline) 상태로 전환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되죠.

[GSS - Ghost] 사용 중인 디스크, 파티션, 볼륨이 작업 개체일 때 고스트는 어떻게 작업하는가?

하지만 윈도우에서는 곧바로 실행이 불가능한 작업도 분명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원 작업을 놓고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복원의 대상(Destination)이 되는 파티션이 현재 사용 중이라면, 말한 것과 같이 해당 파티션을 잠그거나(Locked), 해당 디스크를 오프라인(Offline) 상태로 전환해야 하는데, 현재 실행 중인 윈도우 파티션은 그럴 수 없습니다. 그래서 현재 실행 중인 윈도우 파티션을 대상(Destination)으로 놓고 하는 작업은 윈도우에서는 진행할 수 없습니다.

현재 실행 중인 윈도우 파티션은 잠글 수 없다. 고로 작업에서 대상(Destination)으로 삼을 수 없다.


윈도우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는 몇 가지 잠글 수 없는 파티션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이러한 파티션들로는 시스템 파티션, 부팅 파티션, 페이지 파일 파티션, 크래시 덤프 파티션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파티션들 중에 해당 프로그램이 잠그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B 나 백신 정도?]

종합하면 해당 파티션들이 고스트 작업에서 대상(Destination)이 되는 경우에는 윈도우에서 곧바로 작업을 진행할 수 없고, 그리하여 해당 작업을 진행하려면 해당 파티션들이 사용 중이지 않은 상태 즉, 현재 윈도우가 구동 중이지 않은 현재 윈도우 외의 환경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죠.


현재 윈도우 외의 환경이라면 멀티 부팅 중인 다른 윈도우, 윈도우 PE, 도스(DOS) 환경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은 윈도우 PE 환경입니다. 왜냐하면 윈도우 설치 DVD/USB 가 PE 환경이기 때문이죠. [비스타 이상 기준] 윈도우를 쓰고 있으면 윈도우 설치 DVD/USB 정도는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고스트에서 현재 윈도우 외의 작업 환경이 필요할 때, 가장 간단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윈도우 설치 DVD/USB 로 부팅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2. 윈도우 설치 DVD/USB 에서 고스트 작업을 진행하는 방법

아래는 윈도우 설치 DVD/USB 로 부팅하여 고스트 작업을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01. 윈도우에서 고스트 실행 파일을 고스트 작업과 상관이 없는 드라이브에 미리 준비합니다. 이 때 고스트 실행 파일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윈도우 설치 DVD 의 비트 버전에 맞춰 줍니다. [32비트 윈도우 설치 DVD = 32비트용 고스트 준비]



02. 윈도우 설치 DVD/USB 로 부팅을 진행합니다. 이후 윈도우 설치 환경(PE 환경)이 실행되면 Shift + F10 을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03. 윈도우 PE 에서의 드라이브 문자 정렬은 윈도우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DiskPart 의 List Volume 명령이나, 경로로 이동후 Dir 명령 등을 통해 고스트 실행 파일의 위치를 먼저 확인합니다. 이후 해당 경로로 이동하여 필요한 고스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참고로 이 때 고스트 작업은 곧바로 진행하는 것보다는 [GSS - Ghost] 고스트 작업 전 디스크의 순서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 두 글에서 밝히는 것과 같이 윈도우에서 보던 것과는 달리 디스크 순서가 변화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먼저 확인해보고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 설치 DVD 에 고스트 실행 파일 추가하기

① 매번 고스트 실행 파일을 따로 드라이브에 준비하고 윈도우 설치 DVD 로 부팅한 후, ② DiskPart - List Volume 명령이나 Dir 명령을 통해 준비한 고스트 실행 파일을 찾는 작업은 상당히 귀찮습니다. 설치 DVD 안에 고스트 실행 파일을 넣어두더라도 설치 DVD 드라이브도 찾아야 하니 어차피 똑같죠.

그래서 매번 귀찮을 바에야 차라리 한 번 대차게 귀찮고 이후부터는 편하게 사용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더 나은 선택이지 않을까요? 이럴 땐 그냥 윈도우 설치 DVD 의 부트 이미지에(Boot.wim) 고스트 실행 파일을 추가해버리면 됩니다. 작업은 간단하게 ImageX.exe (7 이상이라면 Dism.exe 작업으로 대체 가능) 와 oscdimg.exe 가 필요합니다. 해당 파일들은 본 블로그의 주요 도구 모음에 준비되어 있습니다.

유용한 프로그램 다운로드 모음


01. 일단 작업하기 편한 드라이브의 루트에 빈 폴더를 두 개 만듭니다. 저는 T:\Win8 과 T:\Mount 로 준비했습니다. 해당 폴더들이 앞으로 모든 작업의 기준이 됩니다. 폴더의 준비를 마쳤으면 윈도우 설치 DVD 의 모든 파일을 T:\Win8 폴더로 복사합니다. 그리고 미리 준비한 ImageX.exe 파일과 oscdimg.exe 파일도 해당 드라이브의 루트로 복사해 둡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작업 환경이 갖추어지게 될 겁니다.




02.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고 T:\ 경로로 이동하여 다음의 ImageX.exe 명령을 통해 boot.wim 파일의 2 번 이미지T:\Mount 폴더로 마운트 합니다.

imagex /mountrw T:\Win8\sources\boot.wim 2 T:\Mount



03. 이미지가 마운트 되었으면 T:\Mount\Windows\System32 폴더에 고스트 실행 파일을 복사합니다. 이 때 고스트 실행 파일은 윈도우 설치 DVD 와 비트 버전이 맞아야 하며 복사 작업에는 관리자 권한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04. 이제 반드시 T:\Mount 와 관련된 윈도우 탐색기를 종료하고, 다음의 ImageX.exe 명령을 내려 언마운트하고 변경된 내용을 저장합니다.

imagex /unmount T:\Mount /commit




05. oscdimg.exe 를 통해 변경된 내용을 ISO 이미지로 저장합니다. 이 때 -l 은 레이블로 여러분이 적절히 원하는대로 입력하면 됩니다.

oscdimg -u2 -udfver102 -o -lWin8_x64 -bT:\Win8\Boot\etfsboot.com T:\Win8 T:\Win8_x64.iso




06. 만들어진 ISO 파일을 레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노릇하게 구워서 사용하면 됩니다.
* 윈도우 설치 USB 라면 Mount 폴더만 따로 다른 드라이브에 준비하고, 윈도우 설치 파일들은 USB 드라이브에서 그냥 둔 후, 그대로 ImageX.exe 로 마운트 -> 파일 추가 -> 저장만 하시면 됩니다. oscdimg 등의 작업은 필요 없습니다.


이렇게 고스트 실행 파일을 Boot.wim 이미지의 \Windows\System32 폴더에 추가해 놓으면, 이후 윈도우 설치 DVD/USB 로 부팅한 후 아래와 같이 아무 경로에서나 곧바로 고스트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솔직한 심정으로 이 다음에 준비한 글 때문에 어째 이게 좀 삽질 같은 느낌이 강하게 들지만, 그래도 뭐... 이게 기초고 알아두셔서 나쁠 건 없습니다... -_-

이번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이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