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당신의 윈도우에 문제가 생겼다면?
당신의 머리를 아프게 하는 수많은 문제들
윈도우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어떤 문제들은 쉽게 해결이 가능한 반면 어떤 문제들은 아무리 둘러봐도 답이 안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쉽게 답이 나오지 않는 경우 그 원인과 해결법을 찾아내기 위해 소모해야 할 시간과 노력은 너무나도 큽니다. 그렇다고 반드시 성공한다는 보장 또한 할 수 없죠.
이렇게 윈도우에 문제가 생겼을 때 가장 간단하고도 확실한 해결법은 역시나 기존의 문제가 생긴 윈도우를 밀어버리고 "깨끗하게 윈도우를 재설치" 하는 것입니다. '컴퓨터를 껐다 켜세요' 와 함께 '윈도우를 밀고 재설치하세요' 는 오랜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윈도우 문제 해결계의 진리이자 끝판왕으로 통하고 있죠. ^^;
그러나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작업은 컴퓨터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 하기엔 너무나도 어려운 작업입니다. C: 드라이브에(윈도우 설치 드라이브에) 포함되어 있는 기존의 데이터들은 안전하게 백업해야 할 것이고,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인 사용자 폴더가 C: 드라이브에 위치해 있는 것이 윈도우의 기본 설정입니다.] 기존의 윈도우를 깨끗하게 밀어버리기 위해 포맷도 해야 할 것이고,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도 알아야 하고... 이것도 알아야 하고... 저것도 알아야 하고... 이거하고... 저거하고...
그래서 이러한 복잡한 윈도우 재설치 과정을 겪다보면 아니 재설치라는 작업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다음과 같은 간절한 바램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누구나 손쉽게 그리고 좀 더 빠르게 윈도우를 재설치할 순 없을까?"
마이크로소프트사도 윈도우 8 을 개발하면서 이러한 동일한 생각을 한 듯 싶습니다. 더더군다나 (데스크탑에 비해) 윈도우를 재설치하기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는 태블릿 PC 와 같은 모바일 기기까지 겨냥한 윈도우 8 입장에서는 어쩌면 이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으로 해결해내야만 하는 문제였겠죠.
PC 복구와(PC Refresh) PC 초기화(PC Reset) 기능의 등장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즐기듯이 미소를 머금고! 사랑하는 연인과 함께 윈도우를 재설치 할 수 있다면?
"윈도우를 손쉽게 다시 설치한다."
PC 복구와 PC 초기화는 바로 이러한 복잡한 윈도우의 재설치 과정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윈도우 8 에 새롭게 포함된 신기능입니다. 포맷, 데이터 백업 등의 복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윈도우 설치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든 사람들이 그저 몇 번의 조작만으로 윈도우를 손쉽게 재설치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기능이죠.
이러한 PC 복구와 PC 초기화는 비슷한 듯 다른데요. 이 둘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PC 복구 - 모든 개인 데이터(C:), 메트로 스타일 앱 및 중요 PC 설정을 유지한 상태로 윈도우를 다시 설치.
PC 초기화 - 모든 개인 데이터(C:), 앱 및 PC 설정을 제거하고 완전한 초기 상태로 윈도우를 다시 설치.
PC 초기화 - 모든 개인 데이터(C:), 앱 및 PC 설정을 제거하고 완전한 초기 상태로 윈도우를 다시 설치.
PC 초기화는 말 그대로 모든 걸 밀어버리고[C: 에 위치한 사용자 데이터 포함] C: 드라이브에 딱 윈도우만 재설치 해놓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C: 드라이브를 깨끗하게 포맷하고[원한다면 다른 데이터용 드라이브들도 함께 포맷] 다시 윈도우만 재설치한 그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죠. 그리하여 윈도우를 설치할 때 입력해야 할 제품 키조차 다시 입력해야 하며, 사용자 계정도 처음부터 다시 설정해야 합니다. 초기화 설정에 따라서는 지금까지 저장한 모든 데이터도 함께 없애버릴 수가 있습니다.
1. PC 를 윈도우 RE(윈도우 복구 환경)로 부팅합니다.
2. 윈도우 RE 가 윈도우(C:) 및 개인 데이터가 있는 하드 드라이브 파티션을 삭제하고 포맷합니다. [개인 데이터용 드라이브는 선택 사항]
3. 윈도우 RE 가 윈도우를 새로 설치합니다.
4. PC 를 새로 설치된 윈도우로 다시 시작합니다.
2. 윈도우 RE 가 윈도우(C:) 및 개인 데이터가 있는 하드 드라이브 파티션을 삭제하고 포맷합니다. [개인 데이터용 드라이브는 선택 사항]
3. 윈도우 RE 가 윈도우를 새로 설치합니다.
4. PC 를 새로 설치된 윈도우로 다시 시작합니다.
PC 복구는 기존의 사용자 데이터와(사용자 폴더 - 내 문서, 내 사진, 다운로드 등) 사용자 계정 정보, 메트로 스타일 앱, 그리고 몇 가지 중요한 윈도우 설정들은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보관해둔 채로 [참고로 PC 복구는 이러한 자료와 정보들을 백업하기 위해 따로 다른 드라이브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백업 작업은 C: 드라이브 내에서 이루어집니다.], 윈도우만 재설치하고 이들을 다시 가져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PC 복구 후에도 기존의 사용자 계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기존의 데이터들은 그대로 남겨둔 채 윈도우 본체만 재설치한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1. PC 를 윈도우 RE(윈도우 복구 환경)로 부팅합니다.
2. 윈도우 RE 가 하드 드라이브(C:)에서 사용자의 데이터, 설정 및 앱을 검색하고 동일 드라이브에 따로 보관합니다.
3. 윈도우 RE 가 윈도우를 새로 설치합니다.
4. 윈도우 RE 가 따로 보관해둔 데이터, 설정 및 앱을 새로 설치한 윈도우에 복원합니다.
5. PC 를 새로 설치된 윈도우로 다시 시작합니다.
2. 윈도우 RE 가 하드 드라이브(C:)에서 사용자의 데이터, 설정 및 앱을 검색하고 동일 드라이브에 따로 보관합니다.
3. 윈도우 RE 가 윈도우를 새로 설치합니다.
4. 윈도우 RE 가 따로 보관해둔 데이터, 설정 및 앱을 새로 설치한 윈도우에 복원합니다.
5. PC 를 새로 설치된 윈도우로 다시 시작합니다.
어쨌든 PC 복구와 PC 초기화 모두 윈도우를 밀고 다시 재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사용자가 설치한 프로그램들은(데스크탑 앱) 모두 깨끗하게 제거된다는 것은 동일합니다. 이렇게 제거된 프로그램들은 PC 복구, PC 초기화를 완료한 후 다시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참고로 PC 복구와 PC 초기화 모두 어쨌든 윈도우를 설치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작업을 위해서는 윈도우 설치 미디어를 필요로 합니다. 즉, 윈도우 설치 DVD 나 윈도우 설치 USB 등을 장착한 후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죠. 물론 이것도 따로 하드 디스크에 저장해두고 이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이 글의 뒤에서 다루도록 하죠.
PC 복구(PC Refresh) 사용하기
먼저 PC 복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8 설치 미디어가 필요합니다. DVD 로 가지고 계신다면 DVD 를, USB 설치 드라이브로 가지고 계신다면 해당 USB 를 시스템에 장착합니다.
윈도우 8 설치 미디어를 장착하였으면 PC 복구를 위해 다음의 과정을 차례로 진행합니다.
▼ PC 복구 작업의 시작
01. 설정 -> PC 설정 변경으로 들어갑니다. ([Windows Key + I(대문자 아이)] -> PC 설정 변경)
02. 일반 -> PC 복구 -> 시작으로 들어갑니다.
03. 다음을 클릭합니다.
04. 새로 고침을 클릭합니다.
05. 시스템이 재시작되며 PC 복구를 시작합니다.
02. 일반 -> PC 복구 -> 시작으로 들어갑니다.
03. 다음을 클릭합니다.
04. 새로 고침을 클릭합니다.
05. 시스템이 재시작되며 PC 복구를 시작합니다.
▼ PC 복구 작업의 진행
PC 복구 작업이 시작되면 장착된 설치 미디어를 통해 윈도우를 재설치하고 설정을 다시 가져오는 작업이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몇 차례의 재부팅 작업이 동반됩니다. 아래의 스크린 샷들은 PC 복구 과정에서 볼 수 있는 화면들입니다.
▼ PC 복구 작업을 완료한 후
PC 복구를 완료하고 나면 기존의 사용자 계정과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을 진행하면 깨끗하게 재설치 된 윈도우를 만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잠시 사용자 계정 설정을 불러오는 과정이 진행됩니다.
위의 스크린 샷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PC 복구를 실행하기 전 미리 스토어를 통해 Wikipedia 앱을 설치해 두었었습니다. 이와 같은 스토어를 통해 설치한 메트로 앱은 PC 복구를 진행하여도 제거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음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사용자가 설치한 프로그램은 [윈도우 8 에선 이를 데스크탑 앱이라고 표현] 모두 제거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이렇듯 기존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PC 복구를 진행하여 제거된 모든 프로그램들은 바탕 화면에 제거된 앱이라는 HTML 문서로 그 목록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떠한 프로그램들이 제거되었는지를 알 수 있으며, 무엇을 다시 설치해야 할 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PC 복구에 대해 설명을 했던 것처럼 사용자 폴더의 데이터들은 모두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즉, 사용자 폴더가 윈도우 기본 경로인 C: 드라이브에 위치해 있다 할 지라도 PC 복구를 위해 따로 백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는 것이죠.
이러한 사용자 폴더의 데이터들은 윈도우 재설치가 진행되는 C: 드라이브에 위치해 있을 지라도 사라지지 않고 모두 남아 있다.
데이터들이 그대로 남아 있는 모습.
PC 복구의 특성은 이와 같습니다. 그럼 다음으로 PC 초기화를 알아보도록 하죠.
PC 복구 후 생성되는 Windows.old 폴더의 처리
PC 복구를 진행하고 나면 C: 드라이브에 Windows.old 라는 폴더가 생성되고 일부 예전 윈도우 및 프로그램 데이터들이 백업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폴더 등 일부는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정리됩니다.]
이러한 Windows.old 폴더를 윈도우 탐색기에서 삭제하려고 하면 권한 문제가 발생하며 정상적으로 삭제가 되질 않습니다.
Windows.old 폴더를 깨끗하게 제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디스크 정리(Cleanmgr)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디스크 정리를 실행한 후 [이것은 먼저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Cleanmgr 명령을 내리거나, 또는 일반 권한으로 디스크 정리를 실행 후 시스템 파일 정리를 선택하셔도 됩니다.] C: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이전 Widnows 설치 항목을 체크하여 정리하시면 됩니다.
PC 복구를 진행하고 나면 C: 드라이브에 Windows.old 라는 폴더가 생성되고 일부 예전 윈도우 및 프로그램 데이터들이 백업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폴더 등 일부는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정리됩니다.]
이러한 Windows.old 폴더를 윈도우 탐색기에서 삭제하려고 하면 권한 문제가 발생하며 정상적으로 삭제가 되질 않습니다.
Windows.old 폴더를 깨끗하게 제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디스크 정리(Cleanmgr)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디스크 정리를 실행한 후 [이것은 먼저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Cleanmgr 명령을 내리거나, 또는 일반 권한으로 디스크 정리를 실행 후 시스템 파일 정리를 선택하셔도 됩니다.] C: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이전 Widnows 설치 항목을 체크하여 정리하시면 됩니다.
PC 초기화(PC Reset) 사용하기
마찬가지로 PC 초기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8 설치 미디어가 필요합니다. DVD 로 가지고 계신다면 DVD 를, USB 설치 드라이브로 가지고 계신다면 해당 USB 를 시스템에 장착합니다.
윈도우 8 설치 미디어를 장착하였으면 PC 초기화를 위해 다음의 과정을 차례로 진행합니다.
▼ PC 초기화 작업의 시작 - 윈도우 드라이브만 정리
아래의 작업은 데이터 드라이브를 제외하고,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의 데이터만 빠르게 제거하고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옵션입니다.
01. 설정 -> PC 설정 변경으로 들어갑니다. ([Windows Key + I(대문자 아이)] -> PC 설정 변경)
02. 일반 -> 모든 항목 제거 및 Windows 다시 설치 -> 시작으로 들어갑니다.
03. 다음을 클릭합니다.
04. Windows 설치 드라이브에서만 제거하겠습니다. 를 클릭합니다.
05. 내 파일만 제거를 클릭합니다.
06. 원래대로를 클릭합니다.
07. 시스템이 재시작되며 PC 초기화를 시작합니다.
02. 일반 -> 모든 항목 제거 및 Windows 다시 설치 -> 시작으로 들어갑니다.
03. 다음을 클릭합니다.
04. Windows 설치 드라이브에서만 제거하겠습니다. 를 클릭합니다.
05. 내 파일만 제거를 클릭합니다.
06. 원래대로를 클릭합니다.
07. 시스템이 재시작되며 PC 초기화를 시작합니다.
▼ PC 초기화 작업의 진행
PC 초기화 작업이 시작되면 선택한 드라이브를 포맷하고 장착된 설치 미디어를 통해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작업이 진행됩니다. 마찬가지로 이 과정에서 몇 차례의 재부팅 작업이 동반되며 우리가 볼 수 있는 화면들은 PC 복구 때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특히나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한 옵션으로 내 파일만 제거를 선택한 경우, 빠르게 데이터를 삭제하고 단순히 윈도우 이미지를 풀어주는 것에 불과하기에 전체적인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PC 복구에 비해 작업이 좀 더 빨리 완료됩니다.
▼ PC 초기화 작업을 완료한 후
PC 초기화를 완료하고 나면 깨끗히 포맷 후 순수하게 윈도우만 재설치한 것이기에 윈도우를 완전히 새로 설치한 것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좀 더 쉽게 비교를 해보자면 이는 사용자가 ImageX.exe 를 통해 수동으로 Install.wim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를 풀어주는 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했을 때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는 것입니다.
참고로 이해하셔야 할 것이 바탕 화면 이미지 등의 설정은 PC 초기화가 해당 설정들을 남겨 놓는 것이 아니라 Microsoft 계정의 특성입니다. (참고 - [윈도우 8] 릴리즈 프리뷰 살펴보기 - 설치 과정) PC 초기화 뿐만 아니라 완전히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거나 다른 컴퓨터에 윈도우를 설치하여도 Microsoft 계정을 사용한다면 주요 설정들은 자동으로 Windows Live ID 에 저장된 설정과 동기화되어 유지되는 것이죠.
아무튼 이러한 부분은 계정의 특성이기에 따로 생각해야 하며, 어쨌든 설치해두었던 메트로 앱은 물론 프로그램(데스크탑 앱), C: 드라이브에 위치해있던 사용자 폴더의 데이터까지 모두 깨끗하게 제거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PC 초기화 당시 윈도우 설치 드라이브(C: 드라이브)의 파일들만 제거하기로 하였기 때문에 D: 드라이브와 같은 다른 데이터용 드라이브의 파일들은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C 초기화를 위한 다른 옵션들
만약 PC 초기화 설정 단계에서 드라이브를 완전히 정리 옵션을 선택하였다면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나머지 모든 드라이브들의 데이터도 함께 제거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D: 드라이브와 같은 데이터 드라이브의 파일들도 모두 제거가 됩니다. 이러한 것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면 옵션 선택시 반드시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순간의 잘못된 선택으로 재앙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나머지 다른 드라이브들의 데이터들도 모두 제거하는 옵션
영향을 받을 드라이브 목록 표시를 선택하면 이와 같이 어떠한 드라이브들의 데이터들이 사라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 뿐만 아니라 나머지 다른 모든 드라이브의 데이터도 함께 제거가 된다.
다음으로 내 파일만 제거 옵션을 선택한 경우 기존의 데이터들을 제거하기 위해 단순한 삭제(빠른 포맷) 작업만을 진행합니다. 이 때문에 PC 초기화를 진행한 후 데이터 복구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여지가 남게 됩니다. 만약 컴퓨터를 타인에게 양도하기 위해 모든 드라이브의 데이터를 삭제하게 설정하고 PC 초기화를 진행하였다면 이는 개인 정보 유출이라는 피해를 만들 수 있는 여지가 남게 되는 것이죠. (참고 - 파일 완전 삭제란 - 제로필과 DoD 5220.22-M 와이핑)
그리하여 설정 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는 또 다른 옵션인 드라이브를 완전히 정리 옵션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드라이브의 데이터들을 정밀하게 삭제하기 위해 드라이브의 모든 섹터에 무작위 패턴 쓰기를 수행하여 복구 유틸리티를 통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도록 만들어 줍니다. [그것이 정확하게 어떠한 알고리즘을 통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그렇기에 내 파일만 제거 옵션을 선택하였을 때 보다 데이터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됩니다. [실제로 테스트 해 본 결과 진짜로 오래 걸리더군요. 진짜로... ㅡ_ㅡ;]
모든 섹터에 무작위 패턴 쓰기를 실행하여 데이터를 보다 정밀하게 삭제한다.
하지만 만약 해당 드라이브가 윈도우에 내장된 드라이브 암호화 기능인 비트 락커(BitLocker) 로 보호되고 있었다면 PC 초기화에서 드라이브를 완전히 정리 옵션을 선택하였을 지라도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무작위 패턴 쓰기 대신 간단하게 암호화 메타 데이터만 삭제하게 됩니다. 이렇듯 암호화된 채 삭제된 데이터는 복구할 수 없기 때문이죠. [실제로 비트 락커의 암호화를 깰 수 있는 방법은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이를 자신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는 데이터의 영구적인 폐기 방법의 하나로 드라이브를 비트 락커로 암호화한 후 데이터의 삭제없이 그대로 폐기하는 방법도 추천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설치 미디어 없이 PC 복구와 PC 초기화를 사용하는 방법 - 복구 이미지 등록
PC 복구와 PC 초기화 모두 어쨌든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과정입니다. 그리하여 알아본 것과 같이 작업을 위해서는 윈도우 설치 미디어를 시스템에 장착하여야만 하죠.(그것이 DVD 든 USB 든) 하지만 이는 분명 불편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윈도우 설치 이미지 파일(Install.wim)을 하드 디스크에 복사해둔 후 이를 PC 복구와 PC 초기화에 사용할 것이라고 지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사실 PC 복구와 PC 초기화에 필요한 것은 윈도우 설치 미디어 전체가 아닌 Install.wim 파일 뿐입니다.]
그리고 더욱 편리한 점은 이러한 윈도우 설치 이미지 파일을 따로 데이터 드라이브에 위치시킬 필요없이,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에 위치시켜도 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윈도우 설치 이미지 파일을 C: 드라이브에 위치시켜도 PC 복구와 PC 초기화 작업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PC 초기화시 이를 설명한 MSDN 블로그의 설명과는 달리 C: 드라이브의 데이터를 지우기 위해 단순 포맷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일단 위에서 설명한 것들은 해당 블로그에서 설명된 내용을 중점으로 테스트 후 작성한 것이라 PC 초기화시 포맷이 이루어진다는 설명은 해당 블로그의 설명을 최대한 따른 것입니다. ^^]
아무튼 이러한 작업은 ReAgentc.exe 명령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01. 먼저 아무 드라이브에 적당한 이름으로(영문) 폴더를 하나 생성합니다. [ex. Windows8Files]
02. 다음으로 윈도우 8 설치 미디어의 [Sources] 폴더에 위치한 Install.wim 파일을 준비한 폴더로 복사합니다.
03.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아래의 명령을 내려줍니다.
02. 다음으로 윈도우 8 설치 미디어의 [Sources] 폴더에 위치한 Install.wim 파일을 준비한 폴더로 복사합니다.
03.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아래의 명령을 내려줍니다.
reagentc /setosimage /path C:\Windwos8Files /target C:\Windows /index 1
/Path : 윈도우 설치 이미지 파일이 포함된 폴더 경로
/Target : 해당 이미지 파일을 사용할 대상 윈도우
/Index : 작업에 사용할 이미지 인덱스 번호 [현재는 시험판이라 1]
/Target : 해당 이미지 파일을 사용할 대상 윈도우
/Index : 작업에 사용할 이미지 인덱스 번호 [현재는 시험판이라 1]
이제부터는 따로 윈도우 설치 미디어를 준비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이미지 파일을 통해 PC 복구와 PC 초기화를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해당 이미지 파일과 설정은 PC 복구와 PC 초기화를 진행하여도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미지 파일이 복구나 초기화 대상인 C: 드라이브에 위치해 있다고 할 지라도]
이는 PC 복구나 PC 초기화를 진행한 후 탐색기를 통해 C: 드라이브에 해당 폴더가 남아 있는 것과 ReAgentc /Info 명령을 통해 복구 이미지 위치와 인덱스 정보가 그대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알 수 있습니다.
PC 복구를 위한 사용자 지정 이미지 만들기 - 사용자 지정 이미지 생성
PC 복구를 진행하게 되면 메트로 스타일 앱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 프로그램들은 모두 제거됩니다. 하지만 분명 PC 복구를 진행하더라도 윈도우가 완전히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닌, 현재 설치된 프로그램들도 그대로 복구가 되었으면 하고 바라는 사용자도 분명 있을 겁니다.
그리하여 윈도우에서는 현재 설치된 프로그램과 설정을 저장한 사용자 지정 이미지(CustomRefresh.wim)를 만들고, 이를 PC 복구 작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PC 초기화는 제외]
언뜻 생각하면 현재 윈도우의 WIM 이미지를 만들기 때문에 고스트나 윈도우에 포함된 또 다른 복구 기능인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와 비슷할 것 같지만 약간은 다릅니다. 고스트나 시스템 이미지가 현재의 상태를 그대로 이미지로 뜨고 다시 그 상태 그대로 복원하는 것이라면, 사용자 지정 이미지를 통한 PC 복구는 기본적인 PC 복구 작업을 진행하면서 사용자 지정 이미지에서 설치된 프로그램들만(드라이버도 포함) 다시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이죠.
아무튼 사용자 지정 이미지를 만드는 것은 RecImg.exe 명령을 통해 가능하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01. 먼저 아무 드라이브에 적당한 이름으로(영문) 폴더를 하나 생성합니다. [ex. RefreshImage]
02.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아래의 명령을 내려줍니다.
02.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아래의 명령을 내려줍니다.
recimg /createimage C:\RefreshImage
이후부터의 PC 복구는 RecImg.exe 를 통해 지정한 경로에 생성한 사용자 지정 이미지(CustomRefresh.wim)를 통해 진행되게 됩니다. [이를 통해 따로 설치 미디어나 복구 이미지를 준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참고로 이러한 사용자 지정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ReAgentc /Info 명령을 통해 그 구성을 확인할 수있습니다.
또한 만약 더이상 이러한 사용자 지정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과 같은 방식의[Install.wim 사용] PC 복구를 사용하고 싶다면 recimg /deregister 명령을 통해 현재 연결된 사용자 지정 이미지의 연결을 끊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되면 다시 PC 복구 작업에 설치 미디어나 지정된 복구 이미지를 사용하게 됩니다. 간단하죠? 참고로 생성했던 사용자 지정 이미지(CustomRefresh.wim) 파일은 직접 지우셔야 합니다.
윈도우로 부팅조차 할 수 없다면?
때때로 어떠한 문제들은 윈도우로의 부팅조차 허락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니까 지금까지 배운대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C 설정으로 들어가서 PC 복구나 PC 초기화를 하고 싶은데 윈도우로 진입이 안 되네? 어쩌지?" 라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러한 PC 복구와 PC 초기화 작업은 비단 윈도우에서 뿐만 아니라 컴퓨터 복구를 통해서도 작업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 설치된 컴퓨터 복구로 진입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고, 만약 그마저도 여의치 않다면 윈도우 설치 미디어(DVD or USB) 로 부팅한 후 컴퓨터 복구로 진입하여 작업하면 됩니다.
이렇게 컴퓨터 복구를 통해 PC 복구나 PC 초기화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도 윈도우의 PC 설정에서 작업을 진행할 때와 약간의 화면 모양만 다를 뿐 그 속성은 동일합니다. 다만 시스템에 여러 개의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멀티 부팅 환경일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어떠한 윈도우가 복구(또는 초기화) 대상인지 선택하는 과정만 추가됩니다. 그리하여 컴퓨터 복구를 통한 복구(초기화) 과정을 따로 살펴보지는 않도록 하겠습니다.
VHD 에 설치된 윈도우에서는 사용 불가 - 로컬 드라이브 전용
제목 그대로 PC 복구와 PC 초기화는 VHD 에 설치된 윈도우는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 오직 물리적인 로컬 드라이브에 설치된 윈도우에서만 사용할 수 있죠. 만약 VHD 에 설치된 윈도우에서 PC 복구나 PC 초기화를 시도하는 경우 재부팅 후 아래와 같이 기본적인 컴퓨터 복구 상태로 부팅된 채 더이상 작업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혹시나 하여 컴퓨터 복구에서 바로 PC 복구나 PC 초기화로 진입해 보아도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며 역시나 작업은 거부됩니다.
참고로 여러 각도로 테스트를 진행해본 결과 다행히도(?) 시스템 예약 파티션은 PC 복구 및 PC 초기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습니다. 윈도우 7 에서는 비트 락커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시스템 예약 파티션의 용도가 딱히 없었기에 대부분 시스템 예약 파티션 없이 파티션을 구성하였었죠.
하지만 이번 윈도우 8 에서는 시스템 예약 파티션의 용량이 늘어났고, 이와 함께 컴퓨터 복구에 해당하는 WinRE.wim 구성이 시스템 예약 파티션으로 기본 설치되기에, 혹시나 이러한 부분들이 컴퓨터 복구를 활용하는 PC 복구와 PC 초기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진 않을까 걱정했지만, 테스트 결과는 시스템 예약 파티션이 있든 없든 PC 복구와 PC 초기화는 잘만 작동하더라는 겁니다.
물론 아직은 윈도우 8 이 정식으로 출시된 것이 아니기에 이러한 내용들이 끝까지 유지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저 이렇게 죽어라고 작성해 놨는데 나중에 갑자기 뭔가가 확 바뀌어 글을 대폭 수정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길 바랄 뿐입니다. ^^;
아직은 베타 버전
지금까지 윈도우 8 에 새롭게 추가된 윈도우 재설치 기능인 PC 복구와 PC 초기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직 윈도우 8 이 정식으로 출시되지 않았지만 최종 시험판이며 정식으로 출시되더라도 큰 틀은 바뀌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길게 남겨 보았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아직 베타(시험판) 버전은 베타 버전이더군요. 제 실제 시스템에서 여러 번 테스트를 시도해 보았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PC 복구와 PC 초기화 기능은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일부러 VHD 에 설치하지 않고 로컬 드라이브에 설치하였고, 혹시 몰라 시스템 예약 파티션까지 기본대로 설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PC 복구와 PC 초기화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왜 안 되냐고? 베타 버전이라 이거지?
혹시 몰라 문제에 대한 어떤 조언이라도 들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보았지만 그 역시도 여의치 않더군요. 무엇이 문제인지 여러 각도로 테스트를 진행해보고 싶지만 제 컴퓨터는 한 대이고 언제나 부족한 시간이 아쉬울 따름입니다.
이러고는 그냥 사라지더라...
알 수 없는 문제로 인해 실제 시스템에서 직접 테스트를 진행해보지는 못하여 너무나도 아쉽지만, 천만 다행으로 VMware Workstation 의 가상 머신에 설치한 윈도우 8 에서는 정상적으로 해당 기능들이 작동하였고 이를 통해 여러가지 테스트를 진행하고 이 글을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 어쨌든 가상 머신에서 여러가지 테스트를 진행해 본 결과, 새롭게 추가된 PC 복구와 PC 초기화 기능은 타블렛 PC 는 물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데스크탑에서도 상당히 유용한 기능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친구 또는 지인의 윈도우에 문제가 생겨 윈도우를 재설치해야만 하는데 서로 너무나도 멀리 떨어져 있어 어쩔 수 없이 전화로 윈도우의 설치를 가르쳐 줄 때의 그 심정은 직접 당해보지 않으면 모르는 고충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건 어떻게 원격 조정으로 해결할 수도 없고... 정말로 말하고 있는 사람이나 듣고 있는 사람이나 둘 다 속 터지는 작업이니까요.
PC 복구와 PC 재설치는 이러한 속 터지는 상황에서는 물론 윈도우 재설치는 가볍게 할 수 있는 파워 유저일 지라도 작업을 이전보다 훨씬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은 굉장히 큰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파워 유저 분들 중에는 이러한 편리한 기능이 준비되어도 이것보다는 손수 포맷하고 직접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것을 선택할 분들도 의외로 많을 거라 매우 조심스럽게 예측합니다. 고스트나 트루 이미지를 알고 있고 사용도 할 줄 알지만 왠지 나는 그냥 미는 게 좋더라는 분들도 많으시니까요. 사람의 심리란 게 오묘한 것이죠. ^^;
그럼 이것으로 윈도우 8 에 새롭게 추가된 기능인 PC 복구와 PC 초기화에 대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오랜만에 글 한 편에 그냥 끝내기를 해보는군요. 읽느라 힘드셨을 텐데 별로 재미도 없는 긴 글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입니다. ^^
p.s 근데 사실 이 글이 먼저 올라올 게 아닌데... 그냥 써논 김에 먼저 공개하죠. ^^;;
★ MSDN Blogs > Windows 8 빌드 > PC 복구 및 초기화
★ How to Refresh or Reset Your Windows 8 PC Without the DVD
★ How to Refresh or Reset Your Windows 8 PC Without the DV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