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윈도우 베타/소식

윈도우 8 릴리즈 프리뷰의 설치 과정 살펴보기

지난번 포스팅 이후로 윈도우 8 을 메인 시스템으로 올리고 이것저것 살펴보았는데요. 대충 어느정도 만져본 것 같으니 지금까지 제가 살펴본 내용들을 하나 하나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이 글은 현재 윈도우 8 에서 작성되고 있습니다.



1. 기본적인 설치에 대한 이야기

윈도우 8 의 기본적인 설치 과정은 같은 계열인 윈도우 비스타와 윈도우 7 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약간의 화면 구성이라던지 모양만 살짝 다를 뿐 그 속성은 동일하다는 것이죠. 그리하여 기존 윈도우 7 을 설치할 줄 아셨던 분들이라면 윈도우 8 의 설치에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무튼 아래는 이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를 해본 것입니다.


기본 설치 관련

1. 윈도우 8 의 설치는 기존과 동일하게 \Sources\Install.wim 파일 안에 포함된 Sysprep 이미지를 풀어주는 방식. (현재는 프리뷰라 에디션 Index 는 1)

2. 윈도우 8 을 VHD 에 설치하여 부팅 가능. (Native VHD Boot 지원)

3. 1 의 내용에 따라 미리 깨끗히 포맷된 파티션이나 VHD 를 준비하고 ImageX.exe 를 통해 Install.wim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를 직접 풀어주고, 이를 BCDBoot.exe 를 통해 부팅에 등록하는 방식으로 설치 가능. 예를 들면 아래처럼.

imagex /apply e:\sources\install.wim 1 d:\
bcdboot d:\windows /l ko-KR

4. 윈도우 8 설치 DVD 의 파일들을 하드 디스크로 복사하고 이를 윈도우 PE 부팅 목록으로 등록하여 설치하는 방식 가능.


VHD 설치 관련

1. VHD 에 윈도우 8 을 설치한 경우 기존과 비슷하게 Windows 체험 지수는 측정이 불가하며, 최대 절전 모드 또한 사용할 수 없음.

2. 마찬가지로 VHD 에 설치한 경우 새롭게 도입된 기능인 PC 복구(PC Refresh) 기능과 PC 초기화(PC Reset)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음.


뭐 대충 이정도를 이야기할 수 있겠네요.




2. 설치 미디어의 준비 - DVD, USB, HDD, 직접 설치

윈도우 8 릴리즈 프리뷰는 ISO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ISO 이미지 파일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선 설치 미디어를 준비하는 작업을 한 줄로 요약하자면, 기존의 윈도우 7 설치 ISO 이미지 파일로 설치 DVD 나 USB 설치 드라이브를 제작할 때와 100% 동일합니다. 그러니 아시는 분들은 자신이 편한대로 알아서 준비하시면 될테고요. 혹시 잘 모르시는 분들은 윈도우 7 USB/DVD 다운로드 도구를 통해 윈도우 7 은 물론 윈도우 XP 에서도 DVD 레코딩 및 USB 설치 드라이브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또는 아래의 방법들로 좀 더 간단하게 설치 작업을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 배치 파일을 통해 간편하게 릴리즈 프리뷰 바로 설치하기 (VHD 포함)



▼ 부팅 등록을 통해 하드 디스크에서 릴리즈 프리뷰 설치 준비하기



이러한 다양한 설치 방법들 중 개인의 상황 또는 취향에 따라 적절히 원하는 설치 방법을 사용하시면 될 듯 합니다.




3. 설치 전 제품키 입력 단계의 부활과 자동 처리

윈도우 8 릴리즈 프리뷰의 경우 윈도우 비스타 때와 동일하게 설치 초기에 제품키를 입력해야 합니다. [윈도우 7 은 설치를 모두 마치고 사용자 계정 설정 단계에서 입력하였죠.]



그리하여 비스타 때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품키 입력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릴리즈 프리뷰의 경우 제품키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윈도우 8 설치 미디어의 \Sources 폴더에 넣으시면 됩니다.


[PID]
value=TK8TP-9JN6P-7X7WW-RFFTV-B7QPF







4. 파티션 구성 - 시스템 예약 파티션의 변화

파티션 생성시 또는 빈 하드에 바로 설치시 자동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예약 파티션



윈도우 8 을 설치할 때 파티션 구성 단계에서 파티션을 생성하려는 경우 이전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시스템 예약 파티션을 자동으로 구성하게 됩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시스템 예약 파티션없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죠.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윈도우 8 설치 DVD 를 통해 파티션을 구성하거나 빈 하드(파티션이 없는)에 바로 설치하는 경우 시스템 예약 파티션(350MB) 을 자동으로 생성. [윈도우 7 : 100MB -> 윈도우 8 : 350MB]

2. 시스템 예약 파티션없이 설치하려면 [소용량 파티션 생성 -> 원하는 크기로 확장] 팁을 적용하거나 DiskPart 를 통해 수동으로 파티션을 구성해야하는 내용 동일.

3. 시스템 예약 파티션은 비트 락커를 위해 Bootmgr 부트 매니저를 윈도우 드라이브와 분리하기 위한 목적은 동일하며, 여기에 더해 새롭게 WinRE.wim(컴퓨터 복구) 가 기본적으로 위치하게 됨. [WinRE.wim 은 시스템 예약 파티션이 없으면 기존과 동일하게 C: 드라이브에 설치됨]


이 외에는 특별하게 다른 부분은 보이질 않습니다. 다만 윈도우 7 에서의 경우 정식 버전으로 출시될 당시 시스템 예약 파티션의 크기가 베타 버전과는 다르게 100MB 로 줄었던 것을 생각하면, 윈도우 8 또한 최종적으로 어떻게 바뀌게 될 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5. 사용자 설정 - 기본 설정 사용 옵션의 등장



윈도우 8 의 경우 사용자 설정 단계를 간소화하기 위해 기본 설정 사용이라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즉, 로그인을 제외한 나머지 설정들은 모두 자동으로 처리하는 것이죠. 기본 설정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설정을 통해 설정하게 되는 아래의 4 단계의 설정들이 모두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스크린 샷의 내용대로 설정 됨]






6. 사용자 계정 - Microsoft 계정과 로컬 계정의 차이

윈도우 8 에는 Microsoft 계정로컬 계정이라는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가지 계정 형식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Microsoft 계정 - Windows Live ID 와 연동되는 새로운 방식의 계정.
로컬 계정 - 해당 컴퓨터에서만 사용되는 기존의 윈도우 계정과 동일한 방식의 계정.

일단 설치 단계에서 각 형식의 계정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Microsoft 계정 설정



▼ 로컬 계정 설정



어떠한 계정 형식을 사용하느냐는 사용자의 선택이지만 새롭게 도입된 Microsoft 계정을 사용할 경우 Windwos Live ID 와 연계되어 윈도우에 내장된 매트로 앱들을 별다른 로그인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해당 앱들의 설정이 자동으로 동기화되고, 계정 이름 및 사용자 정보, 계정 사진, 바탕 화면 설정, 개인 설정, 인터넷 익스플로러 설정, 즐겨찾기, 열어본 페이지 등의 정보들도 동일한 계정을 사용하는 모든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동기화되는 편리한 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미루어 생각해본다면 윈도우 8 의 새로운 기능들을 제대로 느껴보려면 여러모로 Microsoft 계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이를 위해 아직 윈도우 8 을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도 우선 미리 Windows Live ID 를 준비해 두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한 가지 첨언하자면 예전에 Hotmail 이나 윈도우 메신저를 사용하셨던 분들이라면 해당 계정들이 Windows Live ID 로 통합되었으니 계정을 새로 생성하기 전 먼저 이를 한 번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Microsoft 계정 없이 기존과 동일한 형식인 로컬 계정을 사용한다면 각 컴퓨터간의 설정 동기화는 사용할 수 없고, Windows Live ID 를 필요로 하는 매트로 앱들의 경우 사용을 위해서는 따로 로그인을 해주어야만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됩니다.


아무튼 아래는 간략하게 Microsoft 계정을 사용한 경우와 로컬 계정을 사용하여 설치를 완료한 경우를 비교한 것입니다. 스크린 샷은 해상도 조절 외에 아무런 설정없이 설치 직후 그대로 캡쳐하였습니다.


▼ Microsoft 계정으로 설치 - 동일한 계정을 사용하는 다른 컴퓨터와 자동으로 여러가지 설정들이 동기화된 모습.




▼ 로컬 계정으로 설치 - 윈도우 8 기본 설정으로 셋팅된 모습. Windows Live ID 를 필요로 하는 매트로 앱들의 경우 로그인을 요구.



참고로 Microsoft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계정Windows Live ID 프로필 정보에서 성+이름으로 자동 동기화되며, 사용자 계정 폴더는 윈도우를 설치할 당시 프로필 정보에서 성을 제외한 이름으로 생성되고 이후 바뀌지 않습니다. [성 - 신, 이름 - 희돈 -> 사용자 계정 - 신희돈, 사용자 계정 폴더 - 희돈]







설치 과정을 마치며

이상으로 윈도우 8 릴리즈 프리뷰를 통해 윈도우 8 의 전체적인 설치 과정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특징들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설치에 대한 내용들은 대략 이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그럼 다음 글로 넘어가도록 하죠.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