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의 이해
윈도우 XP 두 개를 설치하여 멀티 부팅을 꾸밀 때를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각 윈도우들의 윈도우 드라이브는, 하나는 C: 드라이브, 다른 하나는 D: 드라이브, 이런 형식으로 되는 것이 보통이죠. 이렇게 되는 이유가 윈도우 XP 는 기본적으로 설치될 때 시스템 파티션을 C: 드라이브로 잡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반면 윈도우 7 은 다르죠. 윈도우 7 은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를 C: 드라이브로 잡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윈도우 7 몇 개를 설치하여 멀티 부팅을 꾸미더라도 각 윈도우들의 윈도우 드라이브는 C: 드라이브가 됩니다. [클린 설치 기준]
제가 이 이야기를 왜 꺼냈냐면 어떤 프로그램들은 윈도우가 반드시 C: 드라이브에 설치된 것을 가정하여 운영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윈도우 XP 두 개를 멀티 부팅으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두 윈도우에서 이런 류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면, 두 윈도우 XP 모두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를 C: 드라이브로 고정해야만 하는 것이죠.
사실 이게 몇 년전이었던가? 이 문제를 파코즈 하드웨어에서 쪽지로 질문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요. 그 때는 이 외에도 몇 가지 조건이 더 있어서 Grub4dos 를 통한 작업을 추천해 드렸었나? [기억이 가물...] 아무튼 간단하게 윈도우 드라이브를 C: 드라이브로 고정하는 작업만 필요하다면 미리 알아봤던 시스템(활성) 파티션 바꾸기를 [관련 포스팅] 활용하여 간단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본 글에서 설명한 대로 설치 작업을 마치고 나면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윈도우가 구동되는 겁니다.
무슨 작업인지 이해하시겠죠? 이제 실제로 작업을 시작해 볼텐데요. 작업의 설명은 파티션 관리나 윈도우 설치 등의 기본적인 것은 알아서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작업을 시작해보죠.
윈도우 XP - C: 로 고정하여 멀티 부팅 설치하기
1. 파티션 설정
먼저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 두 곳 모두 주 파티션이어야 합니다. 논리 드라이브는 절대 안 됩니다. 어떻게든 윈도우 XP 를 설치할 파티션들은 주 파티션으로 준비를 해 줍니다.
만약 현재 디스크에 파티션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윈도우 XP 설치 CD 만을 통해 이를 해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윈도우 XP 설치 CD 로 파티션을 만들 때 먼저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만 생성한 후 나머지 할당되지 않은 공간은 그대로 놔두고 윈도우의 설치를 진행한 후,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윈도우에서 디스크 관리를 통해 나머지 파티션들을 주 파티션으로 하여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그 외에 그냥 윈도우 7 설치 DVD 로 부팅해서 그걸로 파티션만 구성해 준다던지, GDisk 나 파티션 위자드류의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든지 그건 여러분이 편한대로 하세요.
2. 첫 번째 윈도우의 설치
첫 번째 윈도우를 설치합니다. [활성 파티션 즉, 윈도우 XP 설치 CD 상에서 C: 드라이브에 설치하면 됩니다.]
윈도우 XP 설치 CD 를 통해 파티션 작업까지 모두 진행하는 경우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첫 번째 디스크에 파티션을 하나만 생성한 후 그곳에 설치하면 됩니다.
첫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모두 마치고 (미리 하지 않았다면) 파티션 구성까지 모두 마치고 나면 다음과 같겠죠? [파티션 구성은 좀 다르더라도]
이제 예제에서는 현재 D: 드라이브인 저 두 번째 파티션[디스크0 파티션1]에 두 번째 윈도우를 설치할 겁니다.
3. 활성 파티션의 변경
두 번째 윈도우를 설치할 주 파티션을 활성 파티션으로 마크합니다.
할 일은 끝났습니다. 이제 이 상태 그대로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4.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
활성 파티션을 바꿔줬으면 그대로 재부팅하여 윈도우 XP 설치 CD 로 부팅,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이 때 윈도우는 다시 또 C: 드라이브에 설치하시면 됩니다. 즉, 지금은 활성 파티션을 두 번째 파티션으로 바꿔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두 번째 파티션이 C: 드라이브로 인식이 되어 있을 겁니다. 그대로 거기에 설치하세요.
5. 나머지 작업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아래와 같이 두 번째 윈도우도 C: 드라이브인 상태가 됩니다. 우리가 원하는대로 된거죠.
그런데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드라이브 문자 구성이 지 멋대로 바뀌어 있을 겁니다. 이를 자신이 원하는대로 적절히 정리해 주세요.[첫 번째 윈도우와 최대한 동일하게 맞춰주는 게 안 헷갈리고 좋습니다.] 나중에 하려고 하면 부팅, 시스템 파티션 제한에 걸려서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거 다시 바꾸려면 귀찮아지니 그냥 먼저 하세요.
자 그럼 이제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현재 상황은 첫 번째 윈도우 파티션과 두 번째 윈도우 파티션 모두에 각각 NTLDR 부트 매니저 구성이 갖춰져 있는 상태입니다. 그 때 그 때 활성 파티션을 바꿔가면서 부팅을 진행할 순 없잖아요? [뭐 그래도 되지만 ^^;] 아무튼 우리가 원하는 건 바로 되는 멀티 부팅이죠. 그래서 이러한 부팅 설정을 하나로 합쳐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작업은 간단합니다. Boot.ini 파일 구성을 하나로만 만들어주면 됩니다. 먼저 현재 C: 드라이브에 존재하는 Boot.ini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줍니다. 그런 후 [operating systems] 의 설정을 그대로 복사합니다.
해당 내용을 복사했으면 이후 현재 D: 드라이브에 존재하는 Boot.ini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줍니다. 그런 후 마찬가지로 [operating systems] 마지막에 앞서 복사한 내용을 그대로 붙여넣어 줍니다. 나머지 부팅 메뉴의 표시 이름이나 timeout 시간도 원하는대로 설정해 주시면 되겠죠? 작업을 마쳤으면 저장합니다.
그럼 첫 번째 파티션에 존재하는 NTLDR 부트 매니저 구성에 멀티 부팅이 꾸며졌습니다. 그냥 반대로 작업을 하고 [D: Boot.ini 내용 잘라낸 후 -> C: Boot.ini 에 붙여넣기] 시스템 파티션의 변경없이 현재 상태 그대로 사용해도 되는데요. 저는 그냥 시스템 파티션을 다시 원래대로 되돌리겠습니다.
Boot.ini 파일의 내용을 합쳤으면 다시 디스크 관리를 실행하여 활성 파티션을 원래대로 되돌려 줍니다.
이후 재부팅하면 아래와 같이 멀티 부팅이 꾸며진 상태입니다. 각각 부팅해 보셔서 정상적으로 부팅이 진행되는지 확인하시구요. 별 문제가 없다면 그대로 사용하시면 되겠네요.
정리
뭐 딱히 더 드릴 말은 없지만 그래도 한 가지 첨언하자면 윈도우 XP 를 설치할 때 만능 고스트를 사용하는 경우들 많죠? [통합 + 무인 설치가 아니라] 그런 만능 고스트의 사용법을 보면 반드시 첫 번째 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에 설치하라는 경우가 대부분일 겁니다. 안 그럼 설치가 제대로 안 되거나 부팅이 안 되는 경우가 많죠. 그 때 만능 고스트 제작자들이 말하는 첫 번째 디스크 첫 번째 파티션이 다른 말로 하면 시스템 파티션입니다.[일반적인 시스템이라면 첫 번재 디스크 첫 번째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인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그래서 만능 고스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두 번째 세 번째 파티션에 설치하고 싶다면 이 내용을 응용하시면 됩니다. 물론 만능 고스트에 포함된 Boot.ini 파일의 파티션 설정이 rdisk(0)partition(1) 에 고정되어 있을테니 적절히 수정해 줘야겠죠?
오랜만에 윈도우 XP 를 만졌더니 옛 기억이 새록새록 나는군요. 아무튼 이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윈도우 XP 두 개를 설치하여 멀티 부팅을 꾸밀 때를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각 윈도우들의 윈도우 드라이브는, 하나는 C: 드라이브, 다른 하나는 D: 드라이브, 이런 형식으로 되는 것이 보통이죠. 이렇게 되는 이유가 윈도우 XP 는 기본적으로 설치될 때 시스템 파티션을 C: 드라이브로 잡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반면 윈도우 7 은 다르죠. 윈도우 7 은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를 C: 드라이브로 잡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윈도우 7 몇 개를 설치하여 멀티 부팅을 꾸미더라도 각 윈도우들의 윈도우 드라이브는 C: 드라이브가 됩니다. [클린 설치 기준]
제가 이 이야기를 왜 꺼냈냐면 어떤 프로그램들은 윈도우가 반드시 C: 드라이브에 설치된 것을 가정하여 운영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윈도우 XP 두 개를 멀티 부팅으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두 윈도우에서 이런 류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면, 두 윈도우 XP 모두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를 C: 드라이브로 고정해야만 하는 것이죠.
사실 이게 몇 년전이었던가? 이 문제를 파코즈 하드웨어에서 쪽지로 질문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요. 그 때는 이 외에도 몇 가지 조건이 더 있어서 Grub4dos 를 통한 작업을 추천해 드렸었나? [기억이 가물...] 아무튼 간단하게 윈도우 드라이브를 C: 드라이브로 고정하는 작업만 필요하다면 미리 알아봤던 시스템(활성) 파티션 바꾸기를 [관련 포스팅] 활용하여 간단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본 글에서 설명한 대로 설치 작업을 마치고 나면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윈도우가 구동되는 겁니다.
무슨 작업인지 이해하시겠죠? 이제 실제로 작업을 시작해 볼텐데요. 작업의 설명은 파티션 관리나 윈도우 설치 등의 기본적인 것은 알아서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작업을 시작해보죠.
윈도우 XP - C: 로 고정하여 멀티 부팅 설치하기
1. 파티션 설정
먼저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 두 곳 모두 주 파티션이어야 합니다. 논리 드라이브는 절대 안 됩니다. 어떻게든 윈도우 XP 를 설치할 파티션들은 주 파티션으로 준비를 해 줍니다.
만약 현재 디스크에 파티션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윈도우 XP 설치 CD 만을 통해 이를 해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윈도우 XP 설치 CD 로 파티션을 만들 때 먼저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만 생성한 후 나머지 할당되지 않은 공간은 그대로 놔두고 윈도우의 설치를 진행한 후,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윈도우에서 디스크 관리를 통해 나머지 파티션들을 주 파티션으로 하여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이런 식으로 설치 CD 를 통해서는 파티션을 하나만 생성하여 설치를 완료한 후 윈도우에서 나머지 파티션을 주 파티션으로 생성.
윈도우 XP 설치 CD 의 파티션 관리 툴은 무조건 주 파티션이 하나라도 있으면 나머지 파티션은 확장 파티션내 논리 드라이브로 생성해버리기 때문에 절대 윈도우 XP 설치 CD 에서 모든 파티션 생성 작업을 하시면 안 됩니다. 이건 윈도우 XP 설치 CD 종특이에요. 어쩔 수 없는 겁니다.
그 외에 그냥 윈도우 7 설치 DVD 로 부팅해서 그걸로 파티션만 구성해 준다던지, GDisk 나 파티션 위자드류의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든지 그건 여러분이 편한대로 하세요.
2. 첫 번째 윈도우의 설치
첫 번째 윈도우를 설치합니다. [활성 파티션 즉, 윈도우 XP 설치 CD 상에서 C: 드라이브에 설치하면 됩니다.]
윈도우 XP 설치 CD 를 통해 파티션 작업까지 모두 진행하는 경우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첫 번째 디스크에 파티션을 하나만 생성한 후 그곳에 설치하면 됩니다.
첫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모두 마치고 (미리 하지 않았다면) 파티션 구성까지 모두 마치고 나면 다음과 같겠죠? [파티션 구성은 좀 다르더라도]
이제 예제에서는 현재 D: 드라이브인 저 두 번째 파티션[디스크0 파티션1]에 두 번째 윈도우를 설치할 겁니다.
3. 활성 파티션의 변경
두 번째 윈도우를 설치할 주 파티션을 활성 파티션으로 마크합니다.
할 일은 끝났습니다. 이제 이 상태 그대로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4.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
활성 파티션을 바꿔줬으면 그대로 재부팅하여 윈도우 XP 설치 CD 로 부팅,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이 때 윈도우는 다시 또 C: 드라이브에 설치하시면 됩니다. 즉, 지금은 활성 파티션을 두 번째 파티션으로 바꿔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두 번째 파티션이 C: 드라이브로 인식이 되어 있을 겁니다. 그대로 거기에 설치하세요.
5. 나머지 작업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아래와 같이 두 번째 윈도우도 C: 드라이브인 상태가 됩니다. 우리가 원하는대로 된거죠.
그런데 두 번째 윈도우의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드라이브 문자 구성이 지 멋대로 바뀌어 있을 겁니다. 이를 자신이 원하는대로 적절히 정리해 주세요.[첫 번째 윈도우와 최대한 동일하게 맞춰주는 게 안 헷갈리고 좋습니다.] 나중에 하려고 하면 부팅, 시스템 파티션 제한에 걸려서 드라이브 문자를 바꾸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거 다시 바꾸려면 귀찮아지니 그냥 먼저 하세요.
자 그럼 이제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현재 상황은 첫 번째 윈도우 파티션과 두 번째 윈도우 파티션 모두에 각각 NTLDR 부트 매니저 구성이 갖춰져 있는 상태입니다. 그 때 그 때 활성 파티션을 바꿔가면서 부팅을 진행할 순 없잖아요? [뭐 그래도 되지만 ^^;] 아무튼 우리가 원하는 건 바로 되는 멀티 부팅이죠. 그래서 이러한 부팅 설정을 하나로 합쳐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작업은 간단합니다. Boot.ini 파일 구성을 하나로만 만들어주면 됩니다. 먼저 현재 C: 드라이브에 존재하는 Boot.ini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줍니다. 그런 후 [operating systems] 의 설정을 그대로 복사합니다.
해당 내용을 복사했으면 이후 현재 D: 드라이브에 존재하는 Boot.ini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줍니다. 그런 후 마찬가지로 [operating systems] 마지막에 앞서 복사한 내용을 그대로 붙여넣어 줍니다. 나머지 부팅 메뉴의 표시 이름이나 timeout 시간도 원하는대로 설정해 주시면 되겠죠? 작업을 마쳤으면 저장합니다.
그럼 첫 번째 파티션에 존재하는 NTLDR 부트 매니저 구성에 멀티 부팅이 꾸며졌습니다. 그냥 반대로 작업을 하고 [D: Boot.ini 내용 잘라낸 후 -> C: Boot.ini 에 붙여넣기] 시스템 파티션의 변경없이 현재 상태 그대로 사용해도 되는데요. 저는 그냥 시스템 파티션을 다시 원래대로 되돌리겠습니다.
Boot.ini 파일의 내용을 합쳤으면 다시 디스크 관리를 실행하여 활성 파티션을 원래대로 되돌려 줍니다.
이후 재부팅하면 아래와 같이 멀티 부팅이 꾸며진 상태입니다. 각각 부팅해 보셔서 정상적으로 부팅이 진행되는지 확인하시구요. 별 문제가 없다면 그대로 사용하시면 되겠네요.
정리
뭐 딱히 더 드릴 말은 없지만 그래도 한 가지 첨언하자면 윈도우 XP 를 설치할 때 만능 고스트를 사용하는 경우들 많죠? [통합 + 무인 설치가 아니라] 그런 만능 고스트의 사용법을 보면 반드시 첫 번째 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에 설치하라는 경우가 대부분일 겁니다. 안 그럼 설치가 제대로 안 되거나 부팅이 안 되는 경우가 많죠. 그 때 만능 고스트 제작자들이 말하는 첫 번째 디스크 첫 번째 파티션이 다른 말로 하면 시스템 파티션입니다.[일반적인 시스템이라면 첫 번재 디스크 첫 번째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인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그래서 만능 고스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두 번째 세 번째 파티션에 설치하고 싶다면 이 내용을 응용하시면 됩니다. 물론 만능 고스트에 포함된 Boot.ini 파일의 파티션 설정이 rdisk(0)partition(1) 에 고정되어 있을테니 적절히 수정해 줘야겠죠?
오랜만에 윈도우 XP 를 만졌더니 옛 기억이 새록새록 나는군요. 아무튼 이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