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윈도우 설치

[윈도우 7] 하드 디스크에서 윈도우 7 설치하기

* 시스템에 (디스크가 하나인 경우) 최소한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이 나누어져 있어야 합니다. 또는 디스크가 두 개 이상이여도 상관없습니다.

* 윈도우 7,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XP 모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정확한 구성은 내용 참고)

* 32비트와 64비트 윈도우 7 설치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윈도우 7 설치를 하드 디스크에 직접 준비하는 이유는?

윈도우 7 설치를 하드 디스크에 직접 준비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있습니다.

첫 째, 윈도우 7 의 설치를 위해 DVD 롬이나 USB 메모리를 준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아무런 윈도우도 준비되지 않은 상태의) 최초 설치가 아니라면 가지고 있는 DVD 장치나 USB 메모리가 없어도 윈도우 7 설치 ISO 이미지 파일은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바로 하드 디스크에 윈도우 7 설치 환경을 준비하고 설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둘 째, 윈도우 7 의 설치 속도가 빠릅니다. 디스크에서 디스크로 직접 파일의 복사가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DVD 나 USB 메모리에서 복사해오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윈도우 7 의 설치 속도가 빠릅니다.

셋 째, 윈도우 7 을 설치할 때마다 설치 DVD 나 USB 메모리를 찾을 필요가 없어집니다. 항상 하드 디스크 안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윈도우를 자주 밀고 새로 설치하시는 분들에겐 특히나 유용합니다.

넷 째, 윈도우 7 설치 매체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습니다. DVD 나 USB 메모리는 언제나 분실의 위험이 있고 막상 필요하여 찾을 때면 항상 어디에 뒀는지 잘 기억이 나질 않죠. 최악의 경우 분실의 위험도 있습니다. 그럼 다시 다운로드 받아서 또 굽고... 그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윈도우 7 설치 DVD 의 파일 구성

그럼 먼저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윈도우 7 설치 DVD 의 파일 구성을 잠깐 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7 설치 DVD 의 파일 구성.


일단 녹색 박스의 bootmgr, [boot], [efi] 이 세 가지는 BOOTMGR 부트 매니저 구성 파일들입니다. 윈도우 PE 의 기본이죠. 이녀석들은 윈도우 PE 가 DVD 나 USB 메모리 등 이동형 저장 장치에 담겨졌을 때 부팅할 수 있도록 해주는 녀석들이죠. 근데 우리가 지금 부팅을 구성하려는 하드 디스크에는 이미 윈도우를 설치하면서 구성이 되었든 직접 설치해서 구성했든 Bootmgr 부트 매니저 구성이 완료된 상태란 말이죠. 안 되어 있으면 우리가 그렇게 만들거구요. 고로 이 녀석들은 필요없습니다.

다음으로 보라색 박스의 [support], [upgrade] 이 두 가지는 설치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들의 모음입니다. 사용자 환경 전송이라든지 뭐 그런 것들이죠. 실제 윈도우 설치에 직접 관여하는 녀석들이 아니라 설치 전이나 후 관련된 작업들을 위한 것이죠. 즉, 필요 없어요.

마지막으로 비취색 박스의 setup.exe, autorun.inf 는 윈도우에서 바로 설치를 시작하기 위한 실행 파일과 자동 실행 파일입니다. 즉, 윈도우 7 설치로 부팅해서 설치를 진행할 것이라면 필요없는 파일들이라는 거죠. 그래서 필요없어요.

그럼 이제 설치 본체인 [sources] 폴더만 남았습니다. 여기에는 윈도우 7 설치 PE 의 본체인 boot.wim 파일과 우리가 설치할 윈도우의 실체라고 할 수 있는 Sysprep 봉인된 윈도우 에디션들의 모음인 Install.wim 파일이 위치해 있죠. 그리고 설치와 관련된 파일과 환경들이 모두 모여 있습니다. 고로! 우리에게 필요한건 이 [sources] 폴더 하나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sources] 폴더를 그대로 하드 디스크의 루트로 가져와서 해당 폴더 안에 위치한 boot.wim 파일에 대한 부팅만 구성해주면 윈도우 7 설치를 하드 디스크에서 바로 부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참고로 이렇게 [sources] 폴더만 따로 추려내는 이유는 그냥 간단하게 윈도우 7 설치 파일 전부를 복사해와도 되지만 그러면 특정 드라이브의 루트가 굉장히 지저분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꼭 필요한 [sources] 폴더만 가져오는 것이죠.

여담으로 [sources] 폴더를 왜 꼭 루트로 가져와야 하느냐? 윈도우 7 설치가 어떤 장치에 위치해 있든 [sources] 폴더가 루트에 위치해 있을 때만 이를 윈도우 7 설치 PE 가 인식하고 정상 작동하도록 만들어져 있거든요. 그래서 그런겁니다.

트윅된 윈도우의 경우 루트 폴더에 Autounattend.xml 무인 설치 응답 파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제작자가 의도한대로 무인 설치가 원할히 진행되기 위해 해당 파일도 함께 가져와야 합니다.






사전 작업

그럼 실제로 윈도우 7 설치의 부팅을 구성해 보도록 하죠. 먼저 윈도우 PE 를 부팅시킬 수 있도록 사전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1. 윈도우 비스타 및 윈도우 7 사용자

윈도우 PE 의 부팅을 구성하기 위해선 램 디스크 장치 옵션이 꼭 필요합니다. 여기에는 공용으로 사용하는 {ramdiskoptions} 항목이 많이 사용되죠. 이미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는 그대로 사용하시면 되고, 만일 아직 구성되어 있지 않거나 잘 모르겠다는 분들은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먼저 작업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7 의 부팅 - 공용으로 사용할 {ramdiskoptions} 항목을 시스템 파티션에 준비하기
Create_ramdiskoptions.zip  md5 : 1D1A8CFA7575E6CD718E868AC0BF76C0

* 만약 시스템 예약 파티션을 포함하여 설치하신 분들이라면 해당 포스팅으로 이동하여 관련 내용을 읽어보시고 적용하세요.


윈도우 비스타나 윈도우 7 사용자는 사전 작업으로 이것만 해주시면 됩니다.



2. 윈도우 XP 사용자

현재 시스템에 윈도우 XP 만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는 윈도우 PE 를 부팅시킬 수 있는 Bootmgr 부트 매니저가 없기 때문에 이를 먼저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Bootmgr 부트 매니저를 설치하고 재부팅하여 적용하신 후 오세요.


단일 윈도우 XP 환경에 BOOTMGR 부트 매니저 설치하기
XP-BOOTMGR_Install2.zip md5 : DD5B04BBD9C32A74552500D947782764

* 윈도우 XP 사용자더라도 이미 Bootmgr 부트 매니저가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는 이 작업이 필요없습니다. (ex. 고스트 자동 복구 시스템 사용자) 그런 분들은 적용하지 마세요.


해당 자료는 Bootmgr 부트 매니저 구성과 함께 boot.sdi 를 통한 {ramdiskoptions} 구성, 작업에 필요한 BCDEdit.exe 파일 설치까지 모두 한 번에 작업합니다. 고로 XP 사용자들도 사전 작업으로 이것만 해주시면 됩니다.




윈도우 7 설치 부팅 등록하기

사전 작업을 모두 마치셨으면 아래의 배치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윈도우 7 설치 DVD 또는 ISO 파일에서 [sources] 폴더를 복사해와 원하는 드라이브의 루트에 위치시켜주고 다운로드 받은 배치 파일도 루트에 함께 위치시켜 줍니다.(반드시 루트에 함께 준비하세요.) 사용 중인 적당한 데이터 드라이브에 위치시키면 되겠죠?


* 참고로 이 때 [sources] 폴더를 위치시킬 드라이브는 기본 디스크에 위치하고 있어야 합니다.(동적 디스크에서는 부팅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윈도우를 설치할 드라이브가 아닌 곳에 위치해주시는게 좋겠죠?


배치 파일과 [sources] 폴더의 준비를 모두 마치셨으면 준비한 Create7Setup.cmd 배치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준비한 [sources] 폴더 안의 boot.wim 파일에 대한 부팅 항목을 구성하고 부팅 메뉴의 마지막에 추가해 줍니다. (작업을 마쳤으면 배치 파일은 삭제해도 됩니다.)



이제 시스템을 재부팅해보면 아래와 같이 Install Windows 7 [From Hard Disk] 부팅 항목이 추가되어 있을 겁니다. 해당 메뉴로 부팅을 진행하면 윈도우 7 설치 DVD 나 USB 메모리로 부팅했을 때와 같이 윈도우 7 의 설치를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죠?






윈도우 7 설치 부팅 메뉴를 제거하고 싶다면?

이렇게 하드 디스크에 윈도우 7 설치 부팅을 구성해 놓으면 앞으로도 계속 멀티 부팅 메뉴에 표시되며 언제든지 윈도우 7 설치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에 따라 한 번만 사용하고 제거해 버리고 싶은 사용자도 분명 있겠죠. BCDEdit.exe 를 통해 작업해도 되지만 좀 더 쉽게는 아래와 같이 작업하시면 됩니다.

Windows Key + R -> msconfig -> 부팅 탭


윈도우 7 설치 부팅 메뉴를 삭제하셨으면 필요없어진 [sources] 폴더도 삭제하시면 됩니다.


VHD 가상 디스크를 활용하는 방법은 일단 윈도우 7 설치로 부팅은 가능하지만 [sources] 폴더를 인식시키기 위해 다시 한 번 수동으로 VHD 를 시스템에 연결시켜야하는 불편이 따르므로 크게 의미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어 연관 포스팅을 취소합니다. 혹시나 WIM 이미지 파일 하나만으로 작동이 가능한 윈도우 PE 의 부팅 항목을 구성하는 경우라면 WIM 이미지 파일을 VHD 가상 디스크에 위치시키고 부팅을 구성해도 정상 작동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멀티 부팅 메뉴 없이 배치 파일을 통해 부팅을 진행하는 방법도 나중에 다룰 예정이기 때문에 그 때 한 번에 알아보는 것으로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