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윈도우 8 & 8.1

[윈도우 8] 윈도우 재설치 없이 IDE 모드에서 AHCI 모드로 변경하기

윈도우 8 에서 S-ATA 모드 변경하기 : IDE to AHCI

윈도우 8 도 윈도우 7 과 마찬가지로 곧바로 S-ATA 의 모드를 IDE 모드에서 AHCI 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단! 윈도우 7 때와 비교하여 레지스트리 키가 조금 달라졌습니다. 그리고 윈도우 8 은 윈도우 7 에 비해 경우의 수가 좀 있습니다.

일단 윈도우 8 에서 기본적인 AHCI 모드로의 변경 작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01. Windows Key + R -> regedit 를 통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02.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torahci\StartOverride] 키의 0 값을 찾은 후 값의 데이터를 0 으로 바꿔줍니다.



03. 시스템을 재부팅한 후 CMOS 셋업에서 S-ATA 의 모드를 AHCI 모드로 변경합니다.



04. 윈도우로 진입 후 장치 관리자[Windows Key + Pause -> 장치 관리자]에서 IDE ATA/ATAPI 컨트롤러가 표준 SATA AHCI 컨트롤러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05. AHCI 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자신의 시스템에 맞는 칩셋 드라이버(또는 별도의 S-ATA 드라이브)를 설치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레지스트리 키가 달라진 것만 빼고는 윈도우 7 과 사실상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윈도우 7 때와는 다르게 윈도우 8 은 해당 레지스트리 키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는 정상적으로 변경 작업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storahci 하위의 StartOverride 키에 포함된 값뿐만 아니라 비슷한 다른 키들에 포함된 값도 변경해줘야만 정상적으로 AHCI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죠.

대체적으로 언급되는 키들은 storahci 하위 키를 포함하여 아래의 키들입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torahci\StartOverride]
"0"=dword:000000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torvsc\StartOverride]
"0"=dword:000000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aStorA\StartOverride]
"0"=dword:000000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aStorV\StartOverride]
"0"=dword:00000000


제 경우에는 storahci 하위 StartOverride 키의 0 값만 데이터를 0 으로 변경해주어도 정상적으로 AHCI 모드로 전환이 가능했지만, 여러분의 경우엔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 그래서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변경 작업 전 윈도우를 먼저 백업해둔 후 작업하시길 추천합니다. 이 중에서 어떤 것일지 모르기 때문이죠. 여차하면 전부 다 바꾸고 전환해보면 될테지만 마땅한 테스트 자료가 없어서 장담은 못하겠습니다.

그리고 마찬가지의 이유로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배치 파일은 따로 제공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8 에서 S-ATA 모드 변경하기 : AHCI to IDE


죄송하지만 현재는 정확하게 어떤 레지스트리 키가 이 경우에 해당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다른 포스팅에서 IDE 모드에서의 XP 가 필요하여 해당 글의 테스트를 진행하던 도중에 실수로 IDE 모드로 변경해놓은 상태에서 윈도우 8 으로 부팅을 진행하였고, 다행히도 정상적으로 부팅이 완료되었습니다. 즉, 아무런 레지스트리 변경 작업 없이 그냥 CMOS 셋업에서 S-ATA 의 모드를 바꿔준 것만으로 AHCI 모드에서 IDE 모드로 전환이 된 것이죠. 하지만 IDE 모드를 원한 것도 필요한 것도 아니었기에 이 글에서 설명한 내용대로 다시 원래의 AHCI 모드로 전환을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생각했습니다. 뭐 기왕 이렇게 된 거 직접 겪었기도 했으니 IDE <-> AHCI 전환 글이나 남기자! 라고 말이죠. 하여 윈도우 8 을 다시 IDE 모드로 전환하려고 보니까 이게 웬걸? 어쩐 일인지 이젠 죽어도 전환이 안 되더군요.

제가 무언가를 잘못했나 싶더군요. 그래서 아예 따로 AHCI 모드로 윈도우 8 을 깨끗하게 설치한 후, 이전과 마찬가지로 별다른 작업 없이 CMOS 의 설정만 바꿔서 곧바로 IDE 로의 전환을 시도해보았습니다. 말했다시피 조금 전에는 그렇게 해서 전환이 되었으니까요. 그런데 안 되더군요. 황당하기도 하고 열도 좀 받고. 그래서 윈도우 8 을 AHCI 모드, IDE 모드, 이렇게 따로 별개로 두 개를 설치한 후, 윈도우 내장 드라이버 상태, 칩셋 드라이버 설치 상태 등등의 여러 가지 상황들을 설정해놓고, 윈도우 7 때의 레지스트리를 참고하여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지만, 역시나 AHCI -> IDE 로의 전환은 안 되더군요. 레지스트리를 백업해 놨다가 복원해도 안 되고... 아우... 환장할 것 같았습니다. 분명 IDE -> AHCI 로의 전환은 잘 되는데 말이죠.


일단 IDE -> AHCI 로의 전환 레지스트리 키가 윈도우 7 때와는 달라졌듯이, AHCI -> IDE 로의 전환 레지스트리 키도 달라진 건 확실해보입니다.

IDE -> AHCI 전환
윈도우 7 : msahci 키의 Start 값의 데이터를 0 으로
윈도우 8 : storahci 하위 StartOverride 키의 0 값의 데이터를 0 으로

AHCI -> IDE 전환
윈도우 7 : pciide 키의 Start 값의 데이터를 0 으로
윈도우 8 : ?

IDE -> AHCI 의 경우를 참고로 하여 pciide 하위 StartOverride 키의 0 값을 바꿔보아도 안 됩니다. 분명 처음 얼떨결에 아무런 작업도 없이 그냥 AHCI 에서 IDE 로 전환이 됐는데, 그것마저도 다시 해보려니 안 되고, 테스트를 위해 따로 깨끗하게 설치한 윈도우 8 에서도 별짓을 다 해봐도 안 됩니다. 그리고 아무리 관련된 정보를 찾아봐도 IDE -> AHCI 만 있고 반대의 경우에 대한 내용은 없더군요. 아예 전환이 되는 경우를 못봤으면 "아~ 윈도우 8 에선 안 되나 보다. ^^" 라고 섣부르지만 빠른 결론이라도 내었을텐데...


혹시나 하여 윈도우 7 도 그러나 보자 하고, 윈도우 7 도 AHCI, IDE 로 개별적으로 설치해놓고 동일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이것은 어쩌면 현재 제 시스템에 무슨 문제가 있어 그런 것이 아닌가 싶었거든요. 그런데 윈도우 7 은 제가 알던대로 아주 잘 됩니다. 윈도우 기본 드라이버 상태, 칩셋 드라이버 설치 상태, IRST 등 관련 도구들 설치 상태 가릴 것 없이 너무나도 전환이 잘 되네요. 그래서 이전 윈도우 7 글이 얼떨결에 나왔습니다. [테스트까지 했는데 포스팅으로 안 남기긴 또 아깝지 않나요?]


이젠 CMOS 셋업의 S-ATA 모드 설정만 봐도 지끈거립니다. 그제 ARC 경로에 관련된 포스팅을 완료하고, 테스트 중간에 가벼운 헤프닝이 발생했고, 그래서 생각도 난 김에 포스팅이나 남기자는 상쾌한 마음으로, 10 분 정도의 시간을 예상하고, 시작했던 글인데... 어쩌다가 이틀짜리 테스트 글이 되었고, 결국은 반쪽짜리 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들인 시간만큼 무언가를 찾아내기라도 했다면 뿌듯이라도 했을 텐데, 결국 남은 건 별로 없네요. 하나 얻은 것이라면 이것이 어떠한 도움이 될 지 모르겠지만 IDE 모드에서 AHCI 모드로 전환을 하게 되면 storahci 의 StartOverride 키가 사라지고, 대신 PnpIntrface 라는 새로운 키가 생성된다는 것 뿐입니다.

많은 이야기를 했지만, 결론은 안타깝게도 아직은 윈도우 8 일 때 AHCI 모드에서 IDE 모드로 전환하는 정확하고도 확실한 방법을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제대로 무언가를 알아내지도 못한 것에 대한 이야기를 왜 이렇게 길게 남기느냐 하면, 이것에 대한 기억의 조각을 남겨두기 위함입니다. 나중에 무언가 새로운 정보를 얻었을 때, 그리하여 그 방법을 알게 되었을 때, 이번의 테스트가 왜 실패하였는지 깨달을 수 있게 되겠지요.


결론 : 별다른 작업 없이 IDE 모드로 전환해보고 성공하면 그대로 쓰고, 안 되면 일단은 그냥 포기하고 AHCI 로 되돌리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