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ost.ini 고스트 환경 설정 파일 만들기
* 예제는 64비트 고스트를 통해 작업하였습니다. 16비트, 32비트 고스트도 작업은 동일합니다.
* 16비트 고스트 = Ghost.exe * 32비트 고스트 = Ghost32.exe * 64비트 고스트 = Ghost64.exe
* 16비트 고스트 = Ghost.exe * 32비트 고스트 = Ghost32.exe * 64비트 고스트 = Ghost64.exe
고스트를 실행한 후 환경 설정을 저장하여 언제나 고스트가 실행될 때마다 해당 옵션이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01. 고스트를 실행한 후 Options 으로 들어갑니다.
02. 필요한 설정을 모두 마친 후 Save Settings 탭의 Save Settings 를 선택하여 현재 셋팅한 설정값을 저장합니다.
03. Ghost.ini 파일이 생성된 걸 확인합니다.
02. 필요한 설정을 모두 마친 후 Save Settings 탭의 Save Settings 를 선택하여 현재 셋팅한 설정값을 저장합니다.
03. Ghost.ini 파일이 생성된 걸 확인합니다.
이제 앞으로 고스트 실행 파일과 Ghost.ini 파일을 같이 두고 고스트를 실행하면 해당 설정들이 자동으로 적용되어 고스트가 실행됩니다. 고스트를 주로 그래픽 모드로 실행하여 작업하시는 분들은 이런 식으로 작업하시면 편하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참고로 해당 설정 파일은 스위치 모드로 작업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만약에 설정 파일과 상반되는 스위치를 적용하는 경우 명령에서 적용된 스위치가 우선시 됩니다.
여기까지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