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lit : 백업 이미지 파일을 원하는 크기로 분할하여 저장하기 외
* 예제는 64비트 고스트를 통해 작업하였습니다. 16비트, 32비트 고스트도 명령은 동일합니다.
* 16비트 고스트 = Ghost.exe * 32비트 고스트 = Ghost32.exe * 64비트 고스트 = Ghost64.exe
* 16비트 고스트 = Ghost.exe * 32비트 고스트 = Ghost32.exe * 64비트 고스트 = Ghost64.exe
1. 고스트 백업 이미지 파일을 원하는 크기로 분할 저장하기
고스트의 백업 이미지 파일은 단일 파일로 저장되는 것이 기본입니다.
ghost64 -clone,mode=pcreate,src=1:1,dst=D:\Backup.gho -sure -z2 -fx
하지만 고스트 백업 이미지 파일을 CD 나 DVD 에 저장할 때는 이게 좀 문제가 됩니다. 백업 이미지 파일의 크기에 따라 CD/DVD 한 장에 백업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죠. 예를 들어 위의 예제 이미지의 경우 DVD 한 장에는 들어갈 수 있지만 CD 한 장에는 저장할 수 없죠.
이럴 때는 -split 스위치를 통해 백업 이미지 파일을 분할하여 저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CD 에 담기 위함이라면 아래와 같이 700MB 정도의 크기로 분할하여 저장하고, 이렇게 분할 저장된 백업 이미지 파일을 각각 CD 에 담으면 되는 것입니다.
* -split=x 형식으로 x 에 분할할 용량을 MB 단위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ghost64 -clone,mode=pcreate,src=1:1,dst=D:\Backup.gho -sure -z2 -fx -split=700
간단하죠? 이 때 분할 저장되는 백업 이미지 파일들의 이름은 -auto 스위치가 기본으로 적용되어 자동으로 지정되며, 고스트의 기본 분할 이미지 형식인 GHO - GHS 로 저장됩니다.
2. FAT32 드라이브에 백업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면?
FAT32 파일 시스템의 특성 중 하나는 4GB 를 초과하는 파일은 저장할 수 없다는 것이죠. ([디스크 정보] 파일 시스템과 포맷 1 장 - 파일 시스템과 포맷) 그럼 FAT32 로 포맷된 드라이브에 백업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면 어떻게 될까요?
ghost64 -clone,mode=pcreate,src=1:1,dst=F:\Backup.gho -sure -z2 -fx
보시는 것과 같이 따로 -split 스위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3.99GB 의 크기로 4GB 를 초과하지 않게 백업 이미지 파일이 분할 저장됩니다. 분할 저장되는 백업 이미지 파일의 이름은 마찬가지로 -auto 스위치가 기본으로 적용되어 자동으로 지정되며, GHO - GHS 형식으로 저장됩니다.
3. 공간이 부족한 드라이브에 백업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면? : -span
이런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백업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드라이브의 공간이 협소하여 백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드라이브가 꽉 차 버리는 경우가 말이죠. 이럴 때 고스트는 자동으로 백업 이미지 파일을 해당 위치에서 분할하고, 이어서 남은 분할 저장본을 저장할 위치를 선택하라는 창을 띄워 줍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H: 드라이브를 대상 경로로 하여 백업을 진행한다면?
ghost64 -clone,mode=pcreate,src=1:1,dst=H:\Backup.gho -sure -z2 -fx
이렇게 되는 것이죠. 중간 창이 뜨면 Browse 버튼을 클릭하여 이어서 저장할 위치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백업 이미지 파일은 특정한 용량에 맞춰서 분할되는 것이 아닌 부족한 부분에서 딱 자르고, 분할 저장본은 통으로 저장되는 구조를 가집니다. 만약에 해당 공간의 용량이 또 부족하다면? 역시나 부족한 부분에서 딱 자르고, 다시 다른 공간으로 저장하라는 식이죠.
메뉴 중에 OK 가 있는데, 이는 CD/DVD-RW 매체와 같은 곳에 곧바로 저장하고 있을 때, 새로운 공 미디어를 넣고 OK 를 누르면 해당 공 미디어에 이어서 저장되는 형식입니다. Cancel 은 백업 작업을 취소하는 것이고요. 그 외에는 딱히 더 드릴 말이 없네요.
참고로 이것은 -span 스위치가 담당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작업에서는 -span 스위치를 추가하지 않았죠? -span 스위치는 -auto 스위치와 함께 고스트의 기본 적용 스위치이기 때문에 따로 적용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아무튼 마찬가지로 분할 저장되는 백업 이미지 파일의 이름은 -auto 스위치가 적용되어 Browse 버튼을 클릭했을 때 자동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근데 이 땐 사용자가 다른 이름으로 바꿀 수는 있습니다.
-cns : 분할 저장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예전 방식으로 지정하기
고스트의 기본 분할 이미지 이름 형식은 GHO - GHS 구조입니다. 이를 예전 방식인 GHO - 001, 002, 003... 형식으로 바꾸려면 작업에 -cns 스위치를 추가하면 됩니다.
ghost64 -clone,mode=pcreate,src=3:1,dst=D:\Backup.gho -sure -z2 -fx -split=100
ghost64 -clone,mode=pcreate,src=3:1,dst=E:\Backup.gho -sure -z2 -fx -split=100 -cns
간단하죠? 참고로 11.5.1 이전의 버전에선 GHO GHS 기본 형식에서 GHS 파일들의 이름을 도스의 8.3 파일 이름 형식에 맞춰 저장하기도 합니다. 최신 버전은 11.5.1 에선 이를 무시하고 윈도우의 긴 이름 형식에 맞춰 주죠. 아무튼 이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With -cns | Without -cns (예전 버전) | Without -cns (11.5.1) |
---|---|---|
Filename.gho | Filename.gho | Filename,gho |
Filename.001 | Filen001.ghs | Filename001.ghs |
Filename.002 | Filen001.ghs | Filename002.ghs |
-noauto : 분할 저장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수동으로 지정하기
백업 이미지 파일을 분할 저장하는 경우 -auto 스위치가 기본으로 적용되어 위와 같이 고스트가 자동으로 백업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지정해주게 됩니다. 이를 무시하고 사용자가 직접 백업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수동으로 지정하려면 -noauto 스위치를 적용하면 됩니다.
ghost64 -clone,mode=pcreate,src=3:1,dst=D:\Backup.gho -sure -z2 -fx -split=300 -noauto
그러면 위와 같이 분할될 때마다 분할 저장본의 이름을 물어보게 되고 자신이 원하는대로 이름을 지정해주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분할 백업본의 이름을 자신이 원하는대로 저장하면 작업의 마지막 Re-insert 1st portion of the image 라고 나오게 되는데 이는 첫 번째 백업 이미지 파일을(예제에선 Backup.gho) 지정하라는 의미입니다. 만약에 같은 경로에 계속하여 분할 이미지를 저장하였다면 그대로 OK 를 선택하면 됩니다.
한 가지 이렇게 분할 백업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기본 형식이 아닌 수동으로 저장하게 되면 나중에 해당 백업 이미지 파일들로 복원을 진행할 때 아래와 같이 매번 분할 이미지를 선택해줘야 하는 불편이 생기게 됩니다.
ghost64 -clone,mode=prestore,src=D:\Backup.gho:1,dst=3:1 -sure -fx
그래서 특별한 목적이 없다면 굳이 -noauto 스위치를 적용하여 분할 이미지 이름을 따로 바꾸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Ghost Explorer : 백업 이미지 파일을 분할 저장하기
단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 통 GHO 백업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보니까 이걸 분할해야 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그렇다면 이 글에서 알아본대로 -split 을 적용하여 다시 백업해야 할까요?
이걸 다시 백업해야 할까?
그럴 땐 고스트 익스플로러의 Compile 기능을 통해 백업 이미지 파일을 다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단일 이미지 파일을 분할 이미지 파일로 재저장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동일한 방법으로 분할 이미지 파일을 단일 이미지 파일로 합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