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설치

[윈도우 8, 7, 비스타] 자동 설치 배치 파일 : 로컬 설치용, 수동 선택형 - VHD, VHDX 지원

CApple 2012. 10. 28. 05:30

이 글에서 제공해드리는 배치 파일은 간단하게 로컬 드라이브나 VHD(VHDX) 에 곧바로 윈도우 8, 7, 비스타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배치 파일입니다. 지난 번 글에서 소개한 배치 파일은 배치 파일을 윈도우를 설치할 드라이브에 두고 실행하는 구조였습니다. 반면 이번에 제공해드리는 배치 파일은 작업 중간 직접 윈도우를 설치할 드라이브를 선택하는 구조입니다.

배치 파일은 XP, 비스타, 7, 8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윈도우 8 과 윈도우 7 을 제외한 윈도우 비스타와 윈도우 XP 에서는 사용 전 먼저 아래의 파일들을 미리 설치해야 합니다.

윈도우 비스타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미리 설치합니다. 설치 후 재부팅은 필요 없습니다.

* Boot_3_Tools-32bit.zip     : 작업에 필요한 추가 도구들을(BCDBoot.exe) 설치합니다.



윈도우 XP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미리 설치합니다. 설치 후 재부팅은 필요 없습니다.

* XP-BOOTMGR_Install2.zip : 컴퓨터에 윈도우 XP 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만 설치합니다.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8 등이 멀티 부팅으로 설치되어 있고, 단순히 작업만 XP 에서 진행하는 거라면 설치하지 않습니다.

* Boot_3_Tools-32bit.zip     : 작업에 필요한 추가 도구들을(BCDBoot.exe 등) 설치합니다.




해당 배치 파일의 작업에는 모든 윈도우에서 공통으로 ImageX 가 필요하기 때문에 함께 포함시켰습니다.

윈도우 자동 설치 - 선택형.zip    [MD5: BA7C0D27F3FE7B858AB8EB5C3758ACD6]    [해시값 확인하기]
* VHD 설치는 윈도우 7 과 윈도우 8 에서만 지원합니다. VHDX 설치는 윈도우 8 에서만 지원합니다.
* 윈도우 XP 에서는 포맷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만약에 포맷이 필요하다면 배치 파일 작업 전 미리 드라이브를 포맷하세요.

01. 설치할 윈도우 설치 DVD 를 시스템에 장착합니다. 또는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로 가지고 있다면 \Sources 폴더만 그대로 아무 드라이브의 루트로 풀어주셔도 됩니다.




02.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적당한 위치에 해제하고 WinSetup.cmd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윈도우를 설치할 (VHD 파일을 위치할) 드라이브를 선택하는 단계가 출력됩니다.




03. 이후의 과정은 스텝 바이 스텝으로 그냥 따라하시면 (VHD, VHDX 생성), 윈도우 설치, 부팅 등록까지 모두 자동으로 진행합니다. 참고로 문제가 있으면 자동으로 이 글의 해당 설명으로 이동하게끔 배치 파일을 짜놨습니다.

04.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새로 설치된 윈도우가 기본 부팅 항목으로 등록됩니다. 윈도우를 종료하고, 추가된 윈도우 부팅 메뉴로 부팅하여 나머지 윈도우의 설치 과정을 진행하면 됩니다. 해당 과정은 각 윈도우들의 기본적인 윈도우의 설치 과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 보기 전환 : 간혹 통합 설치본을 사용하는 경우 통합 설치본 제작자가 이미지에 DISPLAYNAME 을 구성해두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땐 해당 화면에서 N 을 선택하면 에디션 보기가 다른 방식으로 전환되고 에디션 목록이 정상적으로 보일 겁니다.




아래는 실제로 로컬 드라이브에 바로 설치하는 것과 VHD(X) 를 생성하여 VHD(X) 에 설치하는 과정을 담아본 영상입니다. 작업에 포맷을 진행할 수 있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로컬 드라이브에 바로 설치하는 단계에서 포맷을 진행해보았습니다. 참고하시고요. 동영상은 전체 화면으로 보셔야 불편이 없습니다.

로컬 드라이브에 바로 설치하는 모습



VHD 를 생성하여 설치하는 모습



마지막으로 드리고 싶은 말은 이번 배치 파일 또한 WTG 때와는 달리 파티션 활성이나 MBR 코드 영역의 초기화 작업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VHD 나 VHDX 에 설치하는 건 위와 같이 배치 파일 내에서 VHD, VHDX 파일을 만들어서 설치하셔도 되고요. 본인이 직접 VHD(X) 를 다룰 줄 아신다면 그냥 미리 디스크 관리나 DiskPart 로 VHD 파일을 만들고 시스템에 연결한 후 드라이브 문자 할당하고, 그 상태에서 해당 드라이브를 대상으로 로컬 드라이브 설치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설치하셔도 됩니다. 무슨 말인지 이해 되시죠?

꼭 VHD, VHDX 에 설치를 진행하는데 [로컬 드라이브 선택 -> 해당 드라이브에 생성할 VHD 설정] 이런 과정으로만 작업할 필요는 없다는 거죠. [미리 VHD 를 생성하여 연결 -> 로컬 드라이브로 VHD 드라이브 선택] 이 과정으로 작업하셔도 된다는 거죠. 그냥 다들 알아서 잘 하시겠지 하는 마음으로 이전에는 언급을 안 했었는데,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계시는 모습을 종종봐서 이야기해봤습니다.






PE 실행용 배치 파일 구성

참고로 이번 글에서 제공해드리는 배치 파일은 윈도우 설치 DVD 나 사용자 PE 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졌습니다. 아래는 작업에 필요한 ImageX.exe 와 Finstr.exe 파일을 윈도우 설치 DVD(PE) 의 비트 버전에 맞게 각가 추가해 놓은 겁니다.

윈도우 자동 설치 - PE 용.zip    [MD5: 12D453F85A1C5826D37BAEC4EC1D504C]    [해시값 확인하기]

PE DVD 의 루트에 비트 버전에 맞는 파일들을 포함시키셔도 되고, 아무 곳에서나 바로 실행할 수 있게 만들고 싶다면 \Sources\Boot.wim 파일을 마운트하여 \Windows\System32 폴더에 파일들을 포함하신 후 저장하셔도 됩니다. 어차피 이건 초보 분들을 위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세한 작업은 알아서 하실 수 있을거라 믿고 생략하겠습니다.

작업은 PE 로 부팅한 후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고 WinSetup 명령을 내려 배치 파일을 실행하면 됩니다. 참고로 PE 용에는 파티션을 활성할 수 있는 과정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 파티션 활성까진 필요없다고 생각이 되어 해당 과정을 거치는 것이 오히려 불편할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면, 그냥 처음에 제공해드린 윈도우용의 WinSetup.cmd 파일로 교체하시면 됩니다. 해당 부분 외에는 PE 용이나 윈도우 용이나 나머지 과정은 모두 동일하니까요.










이곳은! 배치 파일 작업 중간 윈도우 8 설치 이미지를 찾지 못한 경우 이곳으로 오게 됩니다.


배치 파일이 현재 시스템에서 윈도우 설치 이미지인 install.wim 파일을 찾지 못한 경우 입니다. 아래와 같이 윈도우 설치 DVD 를 정상적으로 장착하였는지 확인해 보세요.



또는 윈도우 설치 ISO 파일을 가지고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이 install.wim 파일이 포함된 sources 폴더 자체를 특정 드라이브의 루트에 풀어주셔야 합니다. 그 외의 나머지 파일들은 필요 없습니다. 혹 다른 경로에 풀었거나 install.wim 파일만 루트로 풀어 놓은 게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