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팅과 멀티 부팅
활성 파티션, 시스템 파티션, 부팅 파티션의 정확한 개념 정리
CApple
2012. 1. 4. 15:00
윈도우의 부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다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활성 파티션, 시스템 파티션, 부팅 파티션입니다. 언뜻 비슷해 보이는 이 세 가지 파티션은 실제론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확실하게 구분을 해 주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파티션의 정확한 개념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활성 파티션의 의미
활성 파티션은 디스크의 MBR 에서 부팅용으로 사용하기로 설정된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활성 파티션은 윈도우의 디스크 관리에서 활성으로 표기해 주며 여타의 다른 디스크 관리 유틸리티에서도 활성, Active, A 등으로 표기를 해 주는 것이 보통입니다.
지난 글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이러한 활성 파티션은 디스크 레벨의 개념입니다. 즉, 디스크 자체내에서 설정되고 관리되는 개념이라는 것이지요.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시스템에 장착된 디스크가 여러 개라면 개개의 디스크 모두 각자의 활성 파티션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디스크들이 모두 활성 파티션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실제로 부팅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은 CMOS 에서 첫 번째 디스크로 설정된 디스크에 포함된 활성 파티션 뿐 입니다. 아무튼 이미 여러 글에서 활성 파티션에 대해 이야기를 했으니 활성 파티션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서 끝!
시스템 파티션
시스템 파티션은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가 위치하여 윈도우의 부팅을 관장하는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시스템 파티션은 윈도우의 디스크 관리에서 시스템으로 표기해 줍니다.
즉,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시스템 파티션 = 윈도우 부트 매니저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는 어디에 설치가 되느냐? 이것이 중요한데요.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는 윈도우가 설치될 때 반드시 CMOS 에서 첫 번째 디스크로 설정된 디스크에 포함된 활성 파티션에 설치가 됩니다. 고로 CMOS 에서 첫 번째 디스크로 설정된 디스크의 활성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이 되는 겁니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시스템 파티션은 동시에 활성 파티션이며 이러한 시스템 파티션엔 반드시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 파일이 위치해 있습니다.
한 가지 활성 파티션은 모든 디스크에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모든 활성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은 아니라는 것! 그러니까!
그런데 여러분이 반드시 아셔야 할 것이 시스템 파티션은 윈도우 레벨의 개념입니다. 즉, 활성 파티션과는 다르게 시스템 파티션은 순전히 오직 윈도우 입장에서 독자적으로 분류해 놓은 개념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활성 파티션은 어디에서나 활성 파티션이지만 시스템 파티션은 윈도우에서만 시스템 파티션일 뿐 입니다.
또한 활성 파티션과는 다르게 시스템 파티션은 "지금부터는 이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 이렇게 사용자 마음대로 설정하는 류의 개념이 아닙니다.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가 설치되어 있고 그걸로 현재 윈도우가 부팅되었다면 그냥 거기가 시스템 파티션인 겁니다. 그러니까 그냥 알아서 자동으로 지정되는 거죠. 잊지마세요~ (활성 파티션과 부트 매니저를 다른 곳으로 옮기면? 다음부턴 거기가 시스템 파티션이 되겠죠. 이렇게 이동은 가능한데 활성 파티션처럼 여기가 시스템 파티션! 이렇게 설정하는 건 안 된다는 거죠.)
부팅 파티션
부팅 파티션은 현재 부팅한 윈도우의 시스템 파일이 위치한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부팅 파티션은 윈도우의 디스크 관리에서 부팅으로 표기해 줍니다.
여기서 헷갈리지 말아야 할 것이 윈도우의 시스템 파일이란 윈도우 본체를 의미하는 겁니다.(이 시스템 파일이라는 용어 때문에 시스템 파티션과 부팅 파티션을 헷갈려 하는 경우가...) 즉, 그러니까 아주 쉽게 현재 부팅한 윈도우를 기준(* 매우 중요)으로 윈도우의 본체인 [Windows] 폴더가 위치한 파티션이 부팅 파티션인 겁니다.
그러니까 책이나 전문적인 자료에서는 처음에 정리한 문장으로 표현하는게 보통인지라 확실히 개념이 서지 않으면 헷갈리니 여러분이 외우실 때에는 부팅 파티션은 현재 부팅한 윈도우의 [Windows] 폴더가 위치한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라고 외우세요. 이게 안 헷갈리고 좋습니다. 그렇다고 시스템 파일의 의미는 잊지 마시구요. ^^
계속해서 부팅 파티션에 대해서 이야기를 더 하자면 만약 현재 윈도우 여러 개가 동시에 설치된 멀티 부팅 환경이라면 부팅 파티션이라고 표시된 파티션이 현재 사용 중인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파티션인 것입니다. 당연히 다른 파티션에 위치한 윈도우로 부팅을 하면? 그 윈도우에선 그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파티션이 부팅 파티션으로 표시가 되겠죠. 무슨 말인지 아시겠죠? 이건 스샷 설명 안 해도 되겠죠?
그리고 시스템 파티션은 그 의미상 PC 의 부팅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파티션인지라 언제나 CMOS 기준 첫 번째 디스크에 위치하는 반면 부팅 파티션은 어떤 디스크의 어떤 파티션에라도 위치할 수 있습니다.(즉, 윈도우는 아무데나 설치가 되지만 부트 매니저는 반드시 첫 번째 디스크의 활성 파티션에 설치된다라는 말과 일맥상통) 뭐 그런 특성을 가지고 있다구요. ^^a
아무튼 이러한 부팅 파티션도 윈도우 레벨의 개념입니다. 즉, 시스템 파티션과 마찬가지로 윈도우가 독자적으로 분류해 놓은 개념이고 알아서 자동으로 지정된다는 거죠.
활성, 시스템, 부팅 파티션 정리
그러니까 이 세 가지 파티션의 개념을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쉽죠? 이번 포스팅은 끝~
생략을 좋아하는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
이 아니고 계속 됩니다. 그러니까 이걸 이야기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 제가 계속 시스템, 활성, 부팅 파티션은 디스크 관리에서 표시해준다! 라고 이야기를 했죠. 그럼 꼭
"저는 안 보이는데요?"
라는 말이 나온다는 것이죠. 이게 왜 그러냐면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는 너무나도 깔끔하고 지저분한 걸 싫어해서 몽땅 생략해버리기 때문에 그런 겁니다.(지가 뭔데?) 그러니까 저런 말을 하신 분은 분명 윈도우 XP 사용자입니다.(비스타나 7 사용자라면 흠...)
그러니까 뭔 말이냐면 우리네 컴퓨터는 시스템, 활성, 부팅 파티션이 모두 한 파티션인 경우가 사실 거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그러니까 윈도우도 거기에 있고 부트 매니저도 거기에 있고) 그럼 이렇게 세 가지 파티션이 모두 동일한 파티션이라면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는 이를 하나로 묶어서 "시스템" 만 덜렁 표시해 준다는 것이죠.(비스타나 세븐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는 안 그럽니다.)
그러니까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에서 시스템만 보인다면 해당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이자 활성 파티션이고 부팅 파티션인 겁니다.
이제 이 셋 중에 하나가 떨어져 나와야 비로소 그걸 표시해 줍니다. 셋 중에 개별적으로 떨어져 나올 수 있는 건 부팅 파티션뿐이죠.
왜 부팅 파티션 뿐이냐구요? 제가 말했잖아요. 시스템 파티션은 반드시 활성 파티션이라고, 이건 서로 떨어질 수가 없어요! 그냥 시스템 파티션이면 거기가 활성 파티션이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정확합니다.
요런 특성 때문에 다른 디스크에도 활성 파티션을 지정해 준다거나 현재 디스크에서 활성 파티션을 다른 곳으로 변경하기 전까진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에선 활성이란 단어를 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이상 생략을 좋아하는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 때문에 첨언한 이야기였습니다. 따로 개별적인 포스팅으로 때어내기엔 너무 부실해서요. ^^;;; 진짜로 끝~
활성 파티션의 의미
활성 파티션은 디스크의 MBR 에서 부팅용으로 사용하기로 설정된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활성 파티션은 윈도우의 디스크 관리에서 활성으로 표기해 주며 여타의 다른 디스크 관리 유틸리티에서도 활성, Active, A 등으로 표기를 해 주는 것이 보통입니다.
지난 글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이러한 활성 파티션은 디스크 레벨의 개념입니다. 즉, 디스크 자체내에서 설정되고 관리되는 개념이라는 것이지요.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시스템에 장착된 디스크가 여러 개라면 개개의 디스크 모두 각자의 활성 파티션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디스크들이 모두 활성 파티션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실제로 부팅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은 CMOS 에서 첫 번째 디스크로 설정된 디스크에 포함된 활성 파티션 뿐 입니다. 아무튼 이미 여러 글에서 활성 파티션에 대해 이야기를 했으니 활성 파티션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서 끝!
시스템 파티션
시스템 파티션은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가 위치하여 윈도우의 부팅을 관장하는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시스템 파티션은 윈도우의 디스크 관리에서 시스템으로 표기해 줍니다.
즉,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시스템 파티션 = 윈도우 부트 매니저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얘네들이 위치한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
그렇다면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는 어디에 설치가 되느냐? 이것이 중요한데요.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는 윈도우가 설치될 때 반드시 CMOS 에서 첫 번째 디스크로 설정된 디스크에 포함된 활성 파티션에 설치가 됩니다. 고로 CMOS 에서 첫 번째 디스크로 설정된 디스크의 활성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이 되는 겁니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시스템 파티션은 동시에 활성 파티션이며 이러한 시스템 파티션엔 반드시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 파일이 위치해 있습니다.
한 가지 활성 파티션은 모든 디스크에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모든 활성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은 아니라는 것! 그러니까!
시스템 파티션 -> 활성 파티션 [O]
활성 파티션 -> 시스템 파티션 [X]
활성 파티션 -> 시스템 파티션 [X]
모든 시스템 파티션은 활성 파티션이지만 모든 활성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은 아니란 말!
그런데 여러분이 반드시 아셔야 할 것이 시스템 파티션은 윈도우 레벨의 개념입니다. 즉, 활성 파티션과는 다르게 시스템 파티션은 순전히 오직 윈도우 입장에서 독자적으로 분류해 놓은 개념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활성 파티션은 어디에서나 활성 파티션이지만 시스템 파티션은 윈도우에서만 시스템 파티션일 뿐 입니다.
또한 활성 파티션과는 다르게 시스템 파티션은 "지금부터는 이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 이렇게 사용자 마음대로 설정하는 류의 개념이 아닙니다.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가 설치되어 있고 그걸로 현재 윈도우가 부팅되었다면 그냥 거기가 시스템 파티션인 겁니다. 그러니까 그냥 알아서 자동으로 지정되는 거죠. 잊지마세요~ (활성 파티션과 부트 매니저를 다른 곳으로 옮기면? 다음부턴 거기가 시스템 파티션이 되겠죠. 이렇게 이동은 가능한데 활성 파티션처럼 여기가 시스템 파티션! 이렇게 설정하는 건 안 된다는 거죠.)
부팅 파티션
부팅 파티션은 현재 부팅한 윈도우의 시스템 파일이 위치한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부팅 파티션은 윈도우의 디스크 관리에서 부팅으로 표기해 줍니다.
여기서 헷갈리지 말아야 할 것이 윈도우의 시스템 파일이란 윈도우 본체를 의미하는 겁니다.(이 시스템 파일이라는 용어 때문에 시스템 파티션과 부팅 파티션을 헷갈려 하는 경우가...) 즉, 그러니까 아주 쉽게 현재 부팅한 윈도우를 기준(* 매우 중요)으로 윈도우의 본체인 [Windows] 폴더가 위치한 파티션이 부팅 파티션인 겁니다.
그러니까 내가 있는 곳이 부팅 파티션이라고!
그러니까 책이나 전문적인 자료에서는 처음에 정리한 문장으로 표현하는게 보통인지라 확실히 개념이 서지 않으면 헷갈리니 여러분이 외우실 때에는 부팅 파티션은 현재 부팅한 윈도우의 [Windows] 폴더가 위치한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라고 외우세요. 이게 안 헷갈리고 좋습니다. 그렇다고 시스템 파일의 의미는 잊지 마시구요. ^^
계속해서 부팅 파티션에 대해서 이야기를 더 하자면 만약 현재 윈도우 여러 개가 동시에 설치된 멀티 부팅 환경이라면 부팅 파티션이라고 표시된 파티션이 현재 사용 중인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파티션인 것입니다. 당연히 다른 파티션에 위치한 윈도우로 부팅을 하면? 그 윈도우에선 그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파티션이 부팅 파티션으로 표시가 되겠죠. 무슨 말인지 아시겠죠? 이건 스샷 설명 안 해도 되겠죠?
그리고 시스템 파티션은 그 의미상 PC 의 부팅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파티션인지라 언제나 CMOS 기준 첫 번째 디스크에 위치하는 반면 부팅 파티션은 어떤 디스크의 어떤 파티션에라도 위치할 수 있습니다.(즉, 윈도우는 아무데나 설치가 되지만 부트 매니저는 반드시 첫 번째 디스크의 활성 파티션에 설치된다라는 말과 일맥상통) 뭐 그런 특성을 가지고 있다구요. ^^a
아무튼 이러한 부팅 파티션도 윈도우 레벨의 개념입니다. 즉, 시스템 파티션과 마찬가지로 윈도우가 독자적으로 분류해 놓은 개념이고 알아서 자동으로 지정된다는 거죠.
활성, 시스템, 부팅 파티션 정리
그러니까 이 세 가지 파티션의 개념을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1. 활성 파티션 - 디스크의 MBR 에서 부팅용으로 사용하기로 설정된 파티션
2. 시스템 파티션 -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가 위치하여 윈도우의 부팅을 관장하는 파티션
3. 부팅 파티션 - 현재 부팅한 윈도우의 시스템 파일이(Windows 폴더가) 위치한 파티션
2. 시스템 파티션 - 윈도우의 부트 매니저가 위치하여 윈도우의 부팅을 관장하는 파티션
3. 부팅 파티션 - 현재 부팅한 윈도우의 시스템 파일이(Windows 폴더가) 위치한 파티션
쉽죠? 이번 포스팅은 끝~
생략을 좋아하는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
이 아니고 계속 됩니다. 그러니까 이걸 이야기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 제가 계속 시스템, 활성, 부팅 파티션은 디스크 관리에서 표시해준다! 라고 이야기를 했죠. 그럼 꼭
"저는 안 보이는데요?"
라는 말이 나온다는 것이죠. 이게 왜 그러냐면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는 너무나도 깔끔하고 지저분한 걸 싫어해서 몽땅 생략해버리기 때문에 그런 겁니다.(지가 뭔데?) 그러니까 저런 말을 하신 분은 분명 윈도우 XP 사용자입니다.(비스타나 7 사용자라면 흠...)
그러니까 뭔 말이냐면 우리네 컴퓨터는 시스템, 활성, 부팅 파티션이 모두 한 파티션인 경우가 사실 거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그러니까 윈도우도 거기에 있고 부트 매니저도 거기에 있고) 그럼 이렇게 세 가지 파티션이 모두 동일한 파티션이라면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는 이를 하나로 묶어서 "시스템" 만 덜렁 표시해 준다는 것이죠.(비스타나 세븐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는 안 그럽니다.)
시스템, 활성, 부팅 파티션이 동일한 경우 -> 시스템만 표시
왜 나만 덩그러니 있는거지?
그러니까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에서 시스템만 보인다면 해당 파티션이 시스템 파티션이자 활성 파티션이고 부팅 파티션인 겁니다.
이제 이 셋 중에 하나가 떨어져 나와야 비로소 그걸 표시해 줍니다. 셋 중에 개별적으로 떨어져 나올 수 있는 건 부팅 파티션뿐이죠.
왜 부팅 파티션 뿐이냐구요? 제가 말했잖아요. 시스템 파티션은 반드시 활성 파티션이라고, 이건 서로 떨어질 수가 없어요! 그냥 시스템 파티션이면 거기가 활성 파티션이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정확합니다.
요런 특성 때문에 다른 디스크에도 활성 파티션을 지정해 준다거나 현재 디스크에서 활성 파티션을 다른 곳으로 변경하기 전까진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에선 활성이란 단어를 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이상 생략을 좋아하는 윈도우 XP 의 디스크 관리 때문에 첨언한 이야기였습니다. 따로 개별적인 포스팅으로 때어내기엔 너무 부실해서요. ^^;;; 진짜로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