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과 복원, 복제/GSS - Ghost 11.5.1

[GSS - Ghost] 대상 디스크의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파티션(볼륨)을 복사, 복원하기

CApple 2012. 10. 4. 10:33
대상 디스크의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파티션(볼륨)을 복사, 복원하기

* 예제는 64비트 고스트를 통해 작업하였습니다. 16비트, 32비트 고스트도 명령은 동일합니다.
* 16비트 고스트 = Ghost.exe     * 32비트 고스트 = Ghost32.exe      * 64비트 고스트 = Ghost64.exe


1.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의 파티션(볼륨) 복사, 복원 작업의 기초

파티션을 복사하거나 복원할 때는 보통 미리 대상 파티션을 생성해두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하지만 굳이 대상 파티션을 미리 생성해두지 않더라도 할당되지 않은 빈 공간(확장 파티션의 사용 가능한 공간)으로 곧바로 복사 또는 복원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작업의 예시는 복사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작업을 해보도록 하죠.



제가 준비해드린 스크린 샷 설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할당되지 않은 공간을 하나의 파티션으로 보고 그에 맞춰 순서대로 번호를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즉, 위와 같은 경우에는 앞에 8:1 파티션과 8:2 파티션이 있으니 할당되지 않은 공간은 8:3 이 되는 것이죠.

이 때, 파티션은 새로 생성되는 작업이죠. 그렇기 때문에 파티션 복사, 복원 작업일지라도 -sze 스위치를 통해 생성될 파티션의 크기를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대상이 8:3 파티션이기 때문에 사이즈 스위치도 -sze3 로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sze 스위치를 생략한다면 자동으로 기본값인 -SZEx=V 스위치가 적용되어 할당되지 않은 영역 전체의 크기로 파티션이 생성됩니다. 글에서는 대상 파티션의 크기를 8GB(-SZEx=8192m) 로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요한 설명은 전부 드렸습니다. -sze 스위치를 사용 가능하다는 것만 알아두시고 나머지는 평상시와 똑같이 복사나 복원 작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ghost64 -clone,mode=pcopy,src=7:1,dst=8:3 -sure -sze3=8192m -fx





그럼 아래와 같이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 필요한 기초적인 설명은 모두 드린 듯 하네요. 이제부터는 추가적으로 들 수 있는 의문들을 예제로 간단하고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논리 드라이브를 파티션 복사(복원)하면?

* 결론 : 논리 드라이브로 생성되고 남은 공간은 확장 파티션의 사용 가능한 공간으로 설정됩니다.

ghost64 -clone,mode=pcopy,src=7:4,dst=8:3 -sure -sze3=8192m -fx






2. 할당되지 않은 공간(사용 가능한 공간)으로 볼륨을 복사하면?

* 결론 : 볼륨 복사(볼륨 백업 후 복원)은 원본의 파티션 타입과 상관없이 새로 만들어지는 거면 무조건 해당 공간의 기본 파티션 타입으로 생성합니다. 고로 원본이 무엇이든 할당되지 않은 공간에선 주 파티션으로 생성되고, 사용 가능한 공간에선 논리 드라이브가 생성됩니다.

ghost64 -clone,mode=pcopy,src=@OS:M:,dst=8:3 -sure -sze3=8192m -fx





ghost64 -clone,mode=pcopy,src=@OS:J:,dst=8:3 -sure -sze3=8192m -fx






3. 사용 가능한 공간으로 주 파티션이나 논리 드라이브를 복사(복원)하면?

* 결론 : 모두 논리 드라이브로 생성됩니다.

ghost64 -clone,mode=pcopy,src=7:1,dst=8:3 -sure -sze3=8192m -fx






4. 할당되지 않은 공간(사용 가능한 공간)이 디스크의 처음이나 중간에 있다면?

* 결론 : 할당되지 않은 공간과 사용 가능한 공간이 디스크의 마지막에 위치해 있을 때만 정상적으로 인식됩니다. 고로 이런 경우에는 이 글에서 설명한 작업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그냥 파티션 만들고 나서 작업하세요.

이런 경우엔 고스트가 해당 공간들을 인식하지 못함




5. 디스크 전체가 할당되지 않은 공간(사용 가능한 공간)이라면?

* 결론 : 디스크 전체가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면 1 번 파티션으로 인식됩니다. 단! 이 때 해당 디스크는 초기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디스크가 초기화되어 있으면 첫 번째 파티션으로 인식


 

디스크가 초기화되어 있지 않으면 인식하지 못함



이번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