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D Automated Recovery System 0.3 설치 패키지
VARS Install Package 0.3.zip [MD5 : F3418BEFED4993C735BCB901CA4F9F30]
* 다운로드는 제 개인적인 웹 호스팅 공간을 통해 배포되는 것으로 하루 트래픽이 초과하면 다운로드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정에 새로이 트래픽이 초기화되니 다운로드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 다음 날 다시 받으시면 됩니다.
이 자료는 윈도우 7 얼티밋 에디션 이상 한국어 버전 및 영어 버전의 사용자 중 VHD 가상 디스크에 윈도우를 설치하여 운용할 분들을 위한 자료입니다.
Windows 7 Ultimate, K, KN 에디션 32 비트 or 64 비트
Windows 7 Enterprise, K, KN 에디션 32 비트 or 64 비트
Windows 7 Enterprise, K, KN 에디션 32 비트 or 64 비트
VHD 에 윈도우 7 설치하기 간략 정리 - 폴딩 열기
1. VHD 가상 디스크는 \VHD\Win7.vhd 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에 맞춰 VHD 가상 디스크를 생성하시고 그곳에 윈도우 7 을 설치하시길 바랍니다.
2. 초기화 스타일을 사용할 경우 자식 VHD 를 활용하기 때문에 VHD 가상 디스크 크기에 2 배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VHD 가 위치할 파티션의 남은 공간을 잘 생각하여 VHD 가상 디스크의 크기를 적절히 만드세요.
2. 초기화 스타일을 사용할 경우 자식 VHD 를 활용하기 때문에 VHD 가상 디스크 크기에 2 배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VHD 가 위치할 파티션의 남은 공간을 잘 생각하여 VHD 가상 디스크의 크기를 적절히 만드세요.
아래는 초심자를 위한 VHD 에 윈도우 7 설치하기 간략 정리입니다.
윈도우 7 설치 DVD 로 부팅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을 설정하는 단계까지 왔다면 VHD 파일을 생성할 파티션을 적절히 준비합니다. 기존의 윈도우 제거를 위해 포맷을 하거나 그런 것은 개인의 판단이지만 굳이 VHD 를 위치시키기 위해 파티션을 반드시 포맷할 필요는 없습니다.
파티션의 준비를 모두 마쳤으면 VHD 를 생성하기 위해 Shift + F10 을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었으면 DiskPart 를 통해 VHD 를 위치시킬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를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디스크와 파티션 구성에 따라 드라이브 문자가 어떻게 배열되어 있을 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 때 파티션(볼륨)은 용량 등의 정보를 통해 구별하십시요. 다음의 명령을 차례로 내려줍니다.
VHD 를 생성할 드라이브 문자를 파악했으면 이제 해당 파티션에 VHD 파일이 위치할 [VHD] 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Win7.vhd VHD 가상 디스크 파일을 생성하여 시스템에 연결해야 합니다. 계속하여 다음의 명령을 치례로 내려줍니다. (이 때 명령에 포함된 C: 는 자신이 파악한 VHD 를 위치시킬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입니다.)
이제 윈도우 7 을 설치할 VHD 가상 디스크의 준비를 모두 마쳤습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종료하고 새로 고침을 클릭하면 방금 생성하고 파티션까지 준비한 VHD 가상 디스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곳에 윈도우 7 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나머지 윈도우 7 의 설치 과정은 알아서 마치세요.
파티션의 준비를 모두 마쳤으면 VHD 를 생성하기 위해 Shift + F10 을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었으면 DiskPart 를 통해 VHD 를 위치시킬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를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디스크와 파티션 구성에 따라 드라이브 문자가 어떻게 배열되어 있을 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 때 파티션(볼륨)은 용량 등의 정보를 통해 구별하십시요. 다음의 명령을 차례로 내려줍니다.
diskpart
list volume
exit
list volume
exit
VHD 를 생성할 드라이브 문자를 파악했으면 이제 해당 파티션에 VHD 파일이 위치할 [VHD] 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Win7.vhd VHD 가상 디스크 파일을 생성하여 시스템에 연결해야 합니다. 계속하여 다음의 명령을 치례로 내려줍니다. (이 때 명령에 포함된 C: 는 자신이 파악한 VHD 를 위치시킬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입니다.)
md c:\vhd
└ C: 드라이브 루트에 [VHD] 폴더 생성. 이 때 C: 드라이브는 여러분에게 맞게 입력.
diskpart
create vdisk file="c:\vhd\win7.vhd" maximum=30720 type=expandable
attach vdisk
create partition primary
format fs=ntfs quick
exit
└ 30GB(30720MB) 짜리 VHD 가상 디스크를 C:\VHD\Win7.vhd 로 생성. 이 때 C: 드라이브는 여러분에게 맞게 입력하며 VHD 가상 디스크의 크기는 Maximum 에 MB 단위로 원하는대로 적절히 입력.
└ C: 드라이브 루트에 [VHD] 폴더 생성. 이 때 C: 드라이브는 여러분에게 맞게 입력.
diskpart
create vdisk file="c:\vhd\win7.vhd" maximum=30720 type=expandable
attach vdisk
create partition primary
format fs=ntfs quick
exit
└ 30GB(30720MB) 짜리 VHD 가상 디스크를 C:\VHD\Win7.vhd 로 생성. 이 때 C: 드라이브는 여러분에게 맞게 입력하며 VHD 가상 디스크의 크기는 Maximum 에 MB 단위로 원하는대로 적절히 입력.
이제 윈도우 7 을 설치할 VHD 가상 디스크의 준비를 모두 마쳤습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종료하고 새로 고침을 클릭하면 방금 생성하고 파티션까지 준비한 VHD 가상 디스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곳에 윈도우 7 의 설치를 시작합니다.
나머지 윈도우 7 의 설치 과정은 알아서 마치세요.
VHD 자동 복구 시스템 구축 전 살펴 볼 윈도우 셋팅
일단 꼭 설정해야 하는 작업만 올려드리겠습니다. 각 작업의 내용은 나중에 따로 링크로 제공해 드리죠.
1. 사용자 계정 컨트롤을 끕니다. [관련 포스팅]
2. 시스템 보호를 끕니다. [관련 포스팅]
3. C: 드라이브의 휴지통 기능을 끕니다. [관련 포스팅]
4. 사용자 폴더들을 VHD 가 아닌 일반 로컬 드라이브로 옮겨 줍니다. [관련 포스팅]
2. 시스템 보호를 끕니다. [관련 포스팅]
3. C: 드라이브의 휴지통 기능을 끕니다. [관련 포스팅]
4. 사용자 폴더들을 VHD 가 아닌 일반 로컬 드라이브로 옮겨 줍니다. [관련 포스팅]
VHD 자동 복구 시스템 구축하기
VARS 를 설치하기 전 다음의 사항을 주의하세요.
* 반드시 VHD 자동 복구 시스템을 구축할 VHD 에 설치된 윈도우로 부팅하여 설치 작업을 시작해야 합니다. 다른 윈도우에서 설치를 진행하면 절대 안 됩니다. (시스템에 설치된 윈도우가 VHD 에 설치된 윈도우 하나라면 이 내용은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VARS 다음과 같은 드라이브의 루트에 설치해야 합니다.
1. 현재 상태에서 C: 드라이브는 절대 안 됩니다.[현재 C: 드라이브는 백업할 원본 VHD 가상 하드 디스크입니다. 원본 안에 백업을?]
2. 드라이브는 드라이브명을 할당 받은 상태여야 합니다.[드라이브 경로만을 가진 파티션에는 설치할 수 없습니다. 이후 드라이브 문자를 제거하여도 안 됩니다.]
3. 드라이브의 루트에 VARS 폴더를 위치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설마 그럴리는 없겠지만 이미 드라이브의 루트에 VARS 라는 폴더가 있다면 기존 폴더의 이름 변경]
4. 드라이브는 NTFS 로 포맷되어 있어야 합니다.[exFAT 파일 시스템에서는 테스트해보지 못하였습니다. FAT32 는 백업이 안 됩니다.(단일 4GB 크기 제한)]
5. 드라이브는 기본 볼륨이어야 합니다.[동적 볼륨은 부팅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6. 드라이브에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백업할 부모(단일) VHD 의 크기는 생각보다 굉장히 큽니다.]
7. 드라이브는 고정 디스크에 위치해야 합니다.[USB 플래시 메모리나 외장 하드를 지원하도록 제작하지 않았습니다. 고로 테스트도 안 해봤습니다.]
2. 드라이브는 드라이브명을 할당 받은 상태여야 합니다.[드라이브 경로만을 가진 파티션에는 설치할 수 없습니다. 이후 드라이브 문자를 제거하여도 안 됩니다.]
3. 드라이브의 루트에 VARS 폴더를 위치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설마 그럴리는 없겠지만 이미 드라이브의 루트에 VARS 라는 폴더가 있다면 기존 폴더의 이름 변경]
4. 드라이브는 NTFS 로 포맷되어 있어야 합니다.[exFAT 파일 시스템에서는 테스트해보지 못하였습니다. FAT32 는 백업이 안 됩니다.(단일 4GB 크기 제한)]
5. 드라이브는 기본 볼륨이어야 합니다.[동적 볼륨은 부팅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6. 드라이브에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백업할 부모(단일) VHD 의 크기는 생각보다 굉장히 큽니다.]
7. 드라이브는 고정 디스크에 위치해야 합니다.[USB 플래시 메모리나 외장 하드를 지원하도록 제작하지 않았습니다. 고로 테스트도 안 해봤습니다.]
이제 글의 시작 부분에서 제공한 VARS Install Package 0.3.zip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VARS 를 설치할 드라이브의 루트에 압축을 풀고 VARS Install.cmd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루트가 아닌 하위 폴더에의 설치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VARS Install.cmd 파일을 실행합니다. (설치가 진행되지 않고 관리자 권한 확인을 한다면 반드시 먼저 사용자 계정 컨트롤을 끄세요.)
1 을 입력하여 Easy Mode 로 설치를 시작합니다.
부팅 목록에 표시될 이름과 부팅 목록 표시 시간을 적절히 입력해 줍니다.
정보를 확인 후 맞다면 Y 를 입력합니다.
나머지 설치 과정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Enter 키를 눌러 줍니다.
설치 파일이 제거되고 VARS 폴더만 남습니다. 설치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1 을 입력하여 Easy Mode 로 설치를 시작합니다.
부팅 목록에 표시될 이름과 부팅 목록 표시 시간을 적절히 입력해 줍니다.
정보를 확인 후 맞다면 Y 를 입력합니다.
나머지 설치 과정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Enter 키를 눌러 줍니다.
설치 파일이 제거되고 VARS 폴더만 남습니다. 설치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VHD 관리 부팅 부팅 항목이 추가되었는지 확인하시고 해당 부팅 메뉴로 부팅을 진행해 봅니다.
이 화면까지 정상적으로 출력이 된다면 VARS 의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Q 입력하여 재부팅하시면 됩니다.
VHD 자동 복구 시스템 스타일 전환하기
VHD 자동 복구 시스템은 VARS-NS (일반 - 단일 VHD), VARS-MS(수동 초기화 - 자식 VHD 연계), VARS-AS(자동 초기화 - 자식 VHD 2 연계) 중 원하는 스타일로 언제든지 바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VHD 관리 부팅으로 부팅을 진행합니다.
S 를 입력합니다.
전환할 스타일 번호를 입력합니다.
전환 작업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완료되면 시스템을 재부팅 합니다.
S 를 입력합니다.
전환할 스타일 번호를 입력합니다.
전환 작업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완료되면 시스템을 재부팅 합니다.
스타일 전환이 완료되면 멀티 부팅 목록이 각 스타일에 맞게 변화합니다.
VHD 자동 복구 시스템 제거하기
[VARS] -> [Tools] -> 04-VARS Uninstall.cmd 파일을 실행한 후 순서대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제거 후 [VARS] 폴더는 알아서 삭제합니다.
나머지 더 자세한 내용은 신비 백업 블로그의 원본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VARS 를 GARS 수준으로 좀 더 쉽게 다듬는 것을 준비 중이지만 현재 사정상 언제 완료될 진 정확하게 모르겠네요. 새로운 버전은 기존과 성격도 좀 달라질 것 같고... 아무튼 잘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