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8, 7, 비스타 자동 설치 배치 파일 - 자동 선택형
하나 붙잡고 늘어지고 있는 것 보다는 미리 만들어 뒀고, 또 요청이 들어온 걸 먼저 올리는 게 맞겠죠? 그래서 이번에 제공해드리는 배치 파일은 간단하게 로컬 드라이브나 VHD(VHDX) 에 곧바로 윈도우 8, 7, 비스타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배치 파일입니다. 이번 배치 파일은 윈도우를 설치할 드라이브에 배치 파일을 위치시킨 후 설치하는 구조입니다.
배치 파일은 XP, 비스타, 7, 8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윈도우 8 과 윈도우 7 을 제외한 윈도우 비스타와 윈도우 XP 에서는 사용 전 먼저 아래의 파일들을 미리 설치해야 합니다.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XP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미리 설치합니다. 설치 후 재부팅은 필요 없습니다.
* Boot_3_Tools-32bit.zip : 작업에 필요한 추가 도구들을(BCDBoot.exe) 설치합니다.
* Boot_3_Tools-32bit.zip : 작업에 필요한 추가 도구들을(BCDBoot.exe) 설치합니다.
윈도우 XP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미리 설치합니다. 설치 후 재부팅은 필요 없습니다.
* XP-BOOTMGR_Install2.zip : 컴퓨터에 윈도우 XP 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만 설치합니다.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8 등이 멀티 부팅으로 설치되어 있고, 단순히 작업만 XP 에서 진행하는 거라면 설치하지 않습니다.
* Boot_3_Tools-32bit.zip : 작업에 필요한 추가 도구들을(BCDBoot.exe 등) 설치합니다.
* XP-BOOTMGR_Install2.zip : 컴퓨터에 윈도우 XP 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만 설치합니다.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8 등이 멀티 부팅으로 설치되어 있고, 단순히 작업만 XP 에서 진행하는 거라면 설치하지 않습니다.
* Boot_3_Tools-32bit.zip : 작업에 필요한 추가 도구들을(BCDBoot.exe 등) 설치합니다.
해당 배치 파일의 작업에는 모든 윈도우에서 공통으로 ImageX 가 필요하기 때문에 함께 포함시켰습니다. 참고로 배치 파일의 작업에 포맷 과정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이 알아서 윈도우를 설치할 해당 드라이브를 NTFS 로 포맷하시거나, 이미 NTFS 로 포맷되어 있다면 그냥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 해당 배치 파일에는 윈도우 자동 설치 - VHD 7 설정.cmd 와 윈도우 자동 설치 - VHD 8 설정.cmd 두 개의 배치 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이는 VHD 설치를 진행할 경우를 대비하여 VHD 설정을 미리 \VHD\Win7.vhd 와 \VHD\Win8.vhd(x) 로 나눠놓은 것입니다. 그 외에는 같으므로 로컬 드라이브에 바로 설치할 때에는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됩니다. 사실 그냥 아무 걸로 설치해도 별 상관은 없습니다.
* VHD 설치는 윈도우 7 과 윈도우 8 에서만 지원합니다. VHDX 설치는 윈도우 8 에서만 지원합니다.
* VHD 설치는 윈도우 7 과 윈도우 8 에서만 지원합니다. VHDX 설치는 윈도우 8 에서만 지원합니다.
01. 설치할 윈도우 설치 DVD 를 시스템에 장착합니다. 또는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로 가지고 있다면 \Sources 폴더만 그대로 아무 드라이브의 루트로 풀어주셔도 됩니다.
02.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윈도우를 설치할 드라이브의 루트에 압축을 해제하시고, 윈도우 자동 설치 - VHD X 설정.cmd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찾은 윈도우 설치 이미지에서 사용할 윈도우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가 출력됩니다.
03. 이후의 과정은 스텝 바이 스텝으로 그냥 따라하시면 (VHD, VHDX 생성), 윈도우 설치, 부팅 등록까지 모두 자동으로 진행합니다. 문제가 있으면 자동으로 이 글의 해당 설명으로 이동하게끔 배치 파일을 짜놨으니 작업 도중 갑자기 이 글로 텨 온다면 해당 부분을 확인하세요.
04.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새로 설치된 윈도우가 기본 부팅 항목으로 등록됩니다. 윈도우를 종료하고, 추가된 윈도우 부팅 메뉴로 부팅하여 나머지 윈도우의 설치 과정을 진행하면 됩니다. 해당 과정은 각 윈도우들의 기본적인 윈도우의 설치 과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02.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윈도우를 설치할 드라이브의 루트에 압축을 해제하시고, 윈도우 자동 설치 - VHD X 설정.cmd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찾은 윈도우 설치 이미지에서 사용할 윈도우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가 출력됩니다.
03. 이후의 과정은 스텝 바이 스텝으로 그냥 따라하시면 (VHD, VHDX 생성), 윈도우 설치, 부팅 등록까지 모두 자동으로 진행합니다. 문제가 있으면 자동으로 이 글의 해당 설명으로 이동하게끔 배치 파일을 짜놨으니 작업 도중 갑자기 이 글로 텨 온다면 해당 부분을 확인하세요.
04. 설치를 모두 마치고 나면 새로 설치된 윈도우가 기본 부팅 항목으로 등록됩니다. 윈도우를 종료하고, 추가된 윈도우 부팅 메뉴로 부팅하여 나머지 윈도우의 설치 과정을 진행하면 됩니다. 해당 과정은 각 윈도우들의 기본적인 윈도우의 설치 과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 보기 전환 : 간혹 통합 설치본을 사용하는 경우 통합 설치본 제작자가 이미지에 DISPLAYNAME 을 구성해두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땐 해당 화면에서 N 을 선택하면 에디션 보기가 다른 방식으로 전환되고 에디션 목록이 정상적으로 보일 겁니다.
배치 파일의 사용에 대해서는 다 이야기를 드렸습니다. WTG 보다는 설명할 게 적어서 좋군요. 설치 동영상은 WTG 때와 다를 게 없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드리고 싶은 말은 이 배치 파일은 WTG 때와는 달리 파티션 활성이나 MBR 코드 영역의 초기화 작업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VHD 나 VHDX 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건 배치 파일을 VHD 를 생성할 로컬 드라이브에 위치시키고, 작업 중간 설치 위치에서 VHD(X) 를 선택하여 배치 파일 내에서 VHD(X)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설치를 진행하셔도 되고요.
본인이 직접 VHD(X) 를 다룰 줄 아신다면 그냥 미리 디스크 관리나 DiskPart 로 VHD 파일을 만들고 시스템에 연결한 후 드라이브 문자 할당하고, 그 상태에서 배치 파일을 해당 (VHD) 드라이브에 두고 실행하여, 설치 위치에서 로컬 드라이브 선택하는 방법으로 설치를 진행하셔도 됩니다. 무슨 말인지 이해 되시죠?
꼭 VHD, VHDX 에 설치를 진행하는데 [로컬 드라이브 배치 파일 위치 -> 해당 드라이브에 생성할 VHD 설정] 이런 과정으로만 작업할 필요는 없다는 거죠. [미리 VHD 를 생성하여 연결 -> 해당 VHD 드라이브에 배치 파일 위한 후 로컬 드라이브 설치 선택] 이 과정으로 작업하셔도 된다는 거죠. 그냥 다들 알아서 잘 하시겠지 하는 마음으로 언급을 안 했었는데, 배치 파일의 VHD 설정을 수정하는 방법 등이 같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헷갈리셨는지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계시는 모습을 종종봐서 이야기해봤습니다.
아무튼 적절히 잘 활용하실거라 믿고요. 아래부터는 배치 파일로 작업 도중 잘못된 부분이 있을 때 자동으로 이곳으로 다시 날아오도록 만들어 놨는데 그것에 대한 메뉴얼입니다.
이곳은! 배치 파일 작업 중간 해당 드라이브가 NTFS 로 포맷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이곳으로 오게 됩니다.
윈도우를 설치할 드라이브가 NTFS 가 아닌 FAT32 나 exFAT 으로 포맷된 경우에는 윈도우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해당 드라이브를 NTFS 로 포맷하신 후 다시 작업을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드라이브를 NTFS 로 포맷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01. 내 컴퓨터에서 USB 드라이브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포맷으로 들어갑니다.
02. 파일 시스템을 NTFS 로 바꿔준 후 포맷하시면 됩니다.
02. 파일 시스템을 NTFS 로 바꿔준 후 포맷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8 설치 이미지의 준비 - Install.wim
이곳은! 배치 파일 작업 중간 윈도우 8 설치 이미지를 찾지 못한 경우 이곳으로 오게 됩니다.
배치 파일이 현재 시스템에서 윈도우 설치 이미지인 install.wim 파일을 찾지 못한 경우 입니다. 아래와 같이 윈도우 설치 DVD 를 정상적으로 장착하였는지 확인해 보세요.
또는 윈도우 설치 ISO 파일을 가지고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이 install.wim 파일이 포함된 sources 폴더 자체를 특정 드라이브의 루트에 풀어주셔야 합니다. 그 외의 나머지 파일들은 필요 없습니다. 혹 다른 경로에 풀었거나 install.wim 파일만 루트로 풀어 놓은 게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이곳은! 배치 파일 작업 중간 생성하려는 VHD(VHDX) 파일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이곳으로 오게 됩니다.
WTG 를 VHD(VHDX) 가상 디스크에 설치하려는데, 만약에 해당 VHD 파일이 이미 해당 드라이브에 존재하고 있고, 해당 VHD 파일도 계속 사용할 생각이라면?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동시에 여러 개의 VHD 파일을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배치 파일을 수정한 후 다시 작업을 진행하면 됩니다.
먼저 윈도우 자동 설치 - VHD X 설정.cmd 배치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줍니다. 배치 파일을 확인해보면 시작 부분에 VHD 기본 설정이 위치해 있습니다. 해당 설정을 원하는 경로와 파일 이름(확장자 제외)으로 변경하시고 저장하신 후 다시 실행하여 작업을 시작하시면 됩니다.
set VHDPath=\VHD\
set VHDFile=Win7
set VHDFile=Win7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드라이브에 여러 개의 VHD 윈도우를 동시에 구성하실 수 있습니다. 경로는(VHDPath) 기본으로 그냥 놔두시고, 파일 이름만(VHDFile) 적절히 바꿔가면서 작업하시면 될 듯 하네요. 이상입니다.
★ [윈도우 8, 7, 비스타] 변화된 윈도우의 설치 구조와 Install.wim 이미지 파일 이해하기
★ [윈도우 8, 7, 비스타] 자동 설치 배치 파일 : 로컬 설치용, 자동 선택형 - VHD, VHDX 지원
★ [윈도우 8, 7, 비스타] 자동 설치 배치 파일 : 로컬 설치용, 수동 선택형 - VHD, VHDX 지원
★ [윈도우 8, 7, 비스타] 자동 설치 배치 파일 : Windows To Go 용 - WTG, 윈도우 투 고, 윈투고
★ [윈도우 8, 7, 비스타] 자동 설치 배치 파일 : 로컬 설치용, 자동 선택형 - VHD, VHDX 지원
★ [윈도우 8, 7, 비스타] 자동 설치 배치 파일 : 로컬 설치용, 수동 선택형 - VHD, VHDX 지원
★ [윈도우 8, 7, 비스타] 자동 설치 배치 파일 : Windows To Go 용 - WTG, 윈도우 투 고, 윈투고